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입력 2024-06-25 09: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우량 배당주에 투자하며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 순자산이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펀드파트너스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주식)’ 순자산은 1186억 원을 집계됐다. 지난해 말 순자산(438억 원)보다 6개월여 만에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는 미국 우량 배당주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다. 미국 기업 중 배당 성장성, 풍부한 잉여현금, 자사주 매입 가능성 등을 고려해 안정적으로 장기 성장하고 꾸준히 배당을 지급할 수 있는 우량 배당주를 선별 투자한다. 주요 투자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등이 있다.

또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는 주가 상승과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커버드콜이란 기초자산 매수와 동시에 해당 자산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이다.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면 옵션 매도 시 수익(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지만, 콜옵션 매도는 만기 시점에 보유한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이에 따른 이익이 제한되는 특징이 있다. 해당 펀드는 연간 0~5%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목표로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콜옵션을 매도해, 주가 상승 이익과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함께 추구한다.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는 언헷지(UH)형과 헷지(H)형 2종 가운데 투자성향에 따라 선택해 가입할 수 있다. 달러화 강세(원화 약세)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에 투자한다면 언헷지형 투자를, 원화 강세(달러화 약세)를 염두한다면 헷지형 투자를 선택할 수 있다.

손수진 미래에셋자산운용 WM연금마케팅부문장 상무는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펀드는 미국 우량 배당주에 커버드콜 전략을 더해 변동성은 완화하고 배당과 옵션 프리미엄이라는 꾸준한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라며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 등 미국 시장에 장기로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09: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86,000
    • +0.22%
    • 이더리움
    • 2,366,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470,900
    • -7.39%
    • 리플
    • 3,098
    • -0.35%
    • 솔라나
    • 187,400
    • -1.37%
    • 에이다
    • 922
    • -1.39%
    • 이오스
    • 899
    • +0.45%
    • 트론
    • 364
    • -1.62%
    • 스텔라루멘
    • 350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60
    • -1.67%
    • 체인링크
    • 18,390
    • -1.02%
    • 샌드박스
    • 374
    • -1.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