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너머] 10년 넘게 걸린 통신채무조정, 제대로 작동하려면

입력 2024-06-25 16: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추심이 그렇게 심하던 A 통신사가 문자 하나 없네요. 독촉에서 벗어나니 편안합니다.” 이날 신용회복위원회 공식 카페에 ‘숨통이 트였다’는 글들이 올라왔다.

정부가 금융·통신 통합 채무조정 제도를 도입한 데 따른 반응이다. 이달 21일부터 금융채무가 있는 이용자가 통신요금이나 소액결제대금을 연체한 경우, 신복위에 채무조정을 신청하면 원금의 최대 90%를 감면받는다. 10년 등 장기간에 걸쳐 갚아도 된다. 또, 채무조정을 신청하면 다음 날 추심이 즉시 중단된다.

통신채무조정은 신복위의 숙원 사업이었다. 신복위에서 금융채무를 조정할 때 통신채무도 같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논의가 시작된 지는 10년이 넘었다.

그간 이뤄졌던 신용회복지원책과는 사뭇 다르다. 정권마다 반복돼 ‘포퓰리즘’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 여타 신용사면과는 달리, 긴 논의 끝에 최초로 시도된 지원책이기 때문이다.

금융기관 빚에 더해 통신채무까지 있는 이들이 지원 대상으로 꼽혔다는 점도 차이점이다. 통신비나 소액결제대금이 일정 기간 이상 밀리면 전화를 비롯한 통신서비스 자체를 이용할 수 없게 돼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취업도 휴대폰 본인인증을 거쳐야 가능한 경우가 많아 빚 상환을 위한 자구노력도 힘들게 된다. 앞서 3월 2000만 원 이하 빚을 갚은 개인과 개인사업자 전체를 대상으로 시행한 신용사면과 달리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수준의 취약계층을 콕 집었다는 점에서 명분이 더해진다.

다만, 논의 10년 만에 시행된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살펴야 할 게 몇 가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게 도덕적 해이 문제다. 통신채무조정 또한 다른 신용회복조치와 마찬가지로 ‘버티면 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줄 수 있어서다. 당국은 심의위원회 심의 등 3단계에 걸쳐 엄격히 심사하고 고의 연체 사실이 드러나면 효력을 중단하기로 했다. 제도의 성패는 당국이 이같이 마련한 장치가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각지대가 없는지도 봐야 한다. 금융채무 없이 통신채무만 가진 사람은 이번 제도의 지원 대상이 아니다. 개별적으로 통신사에 조정 요청을 해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성실상환 의지가 있는 취약계층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석 달가량 앞서 진행된 신용사면에 따라 소액 금융채무부터 갚고 규모가 가장 큰 통신채무만 남겨뒀지만, 정작 빚 부담을 덜 수 있는 제도가 나온 뒤에는 금융채무가 없는 상태라 통신채무조정을 신청할 수 없게 된 사례도 나왔다.

금융당국 내부에서는 금융⸱통신 통합 채무조정이 “역대 금융정책 중에서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성공은 자만과 방심을 낳는다. 당국이 기대한 효과를 위해서는 수시로 한계점을 살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13: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37,000
    • +0.13%
    • 이더리움
    • 2,380,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11,500
    • +4.37%
    • 리플
    • 3,125
    • +0%
    • 솔라나
    • 194,800
    • +2.04%
    • 에이다
    • 947
    • +0.96%
    • 이오스
    • 913
    • -4.4%
    • 트론
    • 372
    • +3.62%
    • 스텔라루멘
    • 352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100
    • +0.33%
    • 체인링크
    • 18,690
    • -0.59%
    • 샌드박스
    • 395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