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뉴욕증시 하락에도 가치주 상승…닛케이 0.95%↑

입력 2024-06-25 1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엔화 가치 상승 앞두고 가치주 관심
중화권 증시, 재정적자 여파 이어져

뉴욕증시의 하락세 속에서도 아시아 증시는 가치주 중심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일본 증시 닛케읻225지수는 엔화 약세에서 시작한 수출종목이 상승하며 두 달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화권 증시는 EU 무역분쟁의 여파에 대한 각각의 판단과 분석이 엇갈리면서 약보합이었다. 전날 발표된 5월 누적 재정적자가 예상치를 넘어섰고, 이 여파가 이날까지 이어졌다.

이날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8.50포인트(0.95%) 상승한 3만9173.15에 장을 마쳤다. 장 초반부터 급등했던 토픽스는 마감까지 여세를 몰아갔다.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47.18포인트(1.72%) 오른 2787.37이었다.

중화권 증시는 약보합세였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3.10포인트(0.44%) 내린 2950.0으로 마감했다. 장 초반 급락했던 대만 가권지수는 마감까지 꾸준히 하락 폭을 만회한 끝에 전 거래일 대비 소폭(62.27포인트ㆍ0.27%) 오른 2만2875.97로 장을 마쳤다.

우리 시간 오후 4시 40분 기준 홍콩 항셍지수는 전날 대비 2.84포인트(0.20%) 하락한 1만8025.18로 막바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같은 시간 인도 센섹스는 0.61%, 싱가포르 종합지수는 0.33% 상승한 채 거래 중이다.

일본증는 엔화 약세를 바탕으로 수출 종목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장비 제조업체인 IHI는 이날 하루 9.7% 상승하며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디스코는 5.5% 내리며 닛케이 가운데 가장 낙폭이 컸다. 도쿄일렉트론도 1.7% 수준 내렸다.

삭소(Saxo)의 글로벌 시장 전략가 차루 차나나(Charu Chanana)는 “2분기에 엔화 가치 상승 위험이 확대됨에 따라 일본 주식에 대한 선택적 및 상향식 접근 방식이 매력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화권 증시는 전날 중국의 재정적자가 전망치를 웃돌았다는 악재가 이날까지 이어졌다. 여기에 유럽연합(EU)과 관세전쟁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유입되면서 약보합세로 전환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0.35%와 0.06% 상승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900,000
    • +1.53%
    • 이더리움
    • 2,555,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528,500
    • +2.22%
    • 리플
    • 3,155
    • +2.24%
    • 솔라나
    • 221,600
    • +4.92%
    • 에이다
    • 1,037
    • +6.14%
    • 이오스
    • 980
    • +5.95%
    • 트론
    • 350
    • +0%
    • 스텔라루멘
    • 411
    • +9.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500
    • +23.93%
    • 체인링크
    • 21,850
    • +5.45%
    • 샌드박스
    • 444
    • +7.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