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도 혜택도 본전치기...밸류업 공시 이대론‘개점휴업’(종합)

입력 2024-06-26 16: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밸류업 공시 기업 주가 등락률
▲밸류업 공시 기업 주가 등락률
금융당국이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인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공시’를 시작한지 한달이 됐지만, 공시에 참여하는 기업은 가뭄에 콩 나듯 하다. 시행 초반임을 감안해도 시가총액이 큰 대기업이나 주목할 만한 기업들의 참여가 소원하다. 초반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밸류업 프로그램의 동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밸류업 공시 기업, 주가 올랐지만

26일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기업 수는 현재 7곳이다. 밸류업 공시를 시작한 지난달 27일 이후 KB금융·키움증권·에프앤가이드·DB하이텍·콜마홀딩스·우리금융지주·HK이노엔 등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했다. 이 가운데 4곳은 기업가치 제고계획 방안을 수립해 나중에 공시하겠다는 ‘계획 예고(안내공시)’를 올렸다. 실질적으로 밸류업 계획을 공시한 상장사는 키움증권과 에프앤가이드, 콜마홀딩스 3곳에 불과하다.

알맹이 없는 공시에 주가 상승률도 제한적이었다. 이날 기준 키움증권과 에프앤가이드는 각각 3%, 10% 하락했다. KB금융과 우리금융지주는 각각 3%, 2% 소폭 상승에 그쳤다. 단, DB하이텍과 콜마홀딩스는 24%, 22%씩 급등했다. 이들 종목의 주가 상승에는 밸류업보다 업황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DB하이텍은 엔비디아발 글로벌 반도체 랠리 훈풍에, 콜마홀딩스는 K뷰티와 여름철 선케어 시장 수혜 기대감에 주가가 뛰어올랐다는 해석이다.

부담스러운 기업들 ‘눈치게임’

밸류업 공시를 바라보는 기업들은 난처하다. 덩치 큰 대기업들은 그야말로 가시방석이다. 밸류업 공시를 해봐야 본전, 안 하면 눈치 보이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주주환원책 등과 같은 확정적 내용을 공시하겠다는 건 부담이다. 주주환원과 경영권 방어 부담(자사주 소각)이 늘면 투자 여력은 줄 수밖에 없다.

국내 대기업 관계자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방향을 잡는다고 해도 금융당국의 눈치가 보이고, 그저 그런 공시를 내놓으면 주주 및 여론의 비판을 감내해야 해 부담이다”라고 토로했다

밸류업 공시에 신경 쓸 여력이 안 된다는 점도 동력을 떨어뜨린다. 국내 주요기업들은 그야말로 전쟁과도 같은 경영환경에 직면했다.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등에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데다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가 파업을 선언하는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재계 2위 SK는 최태원 회장의 1조3800억 원 규모의 재산분할 법원 결정으로 지배구조 리스크가 불거진 상황이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핑계가 아니라 정말로 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 대응에도 손이 달릴 지경”이라며 “밸류업 공시는 공감하고 좋은 이야기이지만, 기업에 1순위 의제는 아닌 것 같다”고 털어놨다.

당장 밸류업 공시보다 다음 달 발표를 앞둔 세법 개정안과 상법개정안 이슈가 기업들에 더 큰 불이다. 경제계는 현행 최고세율 50%인 상속세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5%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현행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 계획에 반발하고 있다.

정철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연구총괄대표 겸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이날 한국상장회사협회의와 코스닥협회가 주최한 ‘기업 밸류업을 위한 지배구조 개선 세미나’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현행 회사에서 주주까지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을 두고 “기업들의 신속한 경영 판단이 어려워지고 이사회의 정상적인 의사 결정에 대해서도 온갖 소송과 사법 리스크에 시달릴 가능성이 제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한국 경제 성장 잠재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업의 투자 활성화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 개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밸류업 공시 확산을 위해 세제혜택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오문성 한양여대 세무회계과 교수는 “현재 코리아디스카운트에 영향을 주는 세목 중 가장 강력한 것은 상속세 및 증여세”라며 “가업상속공제제도의 적용대상 확장, 상속재산 처분 시까지 과세 이연, 연부연납기간 연장 등 납부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최대 자산운용사인 로베코자산운용의 조슈아 크랩 아시아·태평양 주식운용 대표는 “결국 세제 혜택과 규제, 공시 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변화가 일어나야 하기에 투자자, 금융당국, 증권거래소, 시장이 다같이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80,000
    • -0.78%
    • 이더리움
    • 4,781,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4.35%
    • 리플
    • 670
    • -0.45%
    • 솔라나
    • 200,400
    • -1.91%
    • 에이다
    • 556
    • +1.09%
    • 이오스
    • 815
    • -1.93%
    • 트론
    • 176
    • +2.33%
    • 스텔라루멘
    • 128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3.85%
    • 체인링크
    • 19,470
    • -3.33%
    • 샌드박스
    • 473
    • -1.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