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도 고용ㆍ복지 상담받을 수 있어
복합지원 범위 '복지ㆍ법률지원'까지 확대
"서민금융 이용 고객 경제적 자활 지원"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이달 30일 출시되는 서민금융 종합플랫폼인 '서민금융 잇다'를 통해 복합지원의 범위가 복지와 법률지원까지 확대된다"고 밝혔다.
27일 김 위원장은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과 함께 회의를 열고 "기존 정책서민금융 운영 상 미비점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책서민금융을 10조 원 수준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소액생계비대출 등 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상품을 출시해 운영했다"면서도 "운영 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상품이 다양하지만 서민들은 무슨 상품과 서비스가 있는지, 어떤 상품이 본인에게 적합한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기존에 대면 중심으로 이뤄졌던 금융-고용 연계 등 자활 지원 서비스는 생업에 바쁜 서민·취약계층이 이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관련 뉴스
정부는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할 방법으로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를 내놨다. 이달 30일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그는 "새로운 플랫폼의 명칭은 저신용·저소득층이 이용할 수 있는 서민금융상품이 다 '있고', 비대면 복합상담을 통해 고용·복지, 채무조정제도를 '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는 뜻"이라며 "이용 가능한 민간과 정책서민금융상품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해 이용자가 상품 선택에서부터 대출 시행까지 가능하도록 '원스탑(One-stop)'으로 지원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는 그간 직접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야만 받을 수 있었던 고용·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을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비대면으로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앞서 1월 말 금융위와 고용부는 '금융-고용 복합지원 방안'을 발표한 후 서민금융 이용자 총 5152명에게 고용지원제도를 연계했다.
금융위는 복지부·행안부와 함께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한 정신건강 상담 지원, 복지멤버십 가입 안내 강화 등 복지 서비스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법무부·금융감독원과 협업해 불법사금융 피해자에 대한 신고 및 법률지원 등도 강화한다.
김 위원장은 "복합지원이 서민금융 이용 고객의 경제적 자활을 실효성 있게 지원하도록 기관 간 벽을 허물고 어떤 점이 불편한지 현장의 목소리에 계속 귀 기울이면서, 복합지원의 내용과 전달체계 등을 지속해서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