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잇다' 30일 출시…조회부터 대출까지 한번에

입력 2024-06-27 13: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72개 서민금융상품 가입…"추후 확대 예정"
'잇다'에서 고용ㆍ복지 등 비대면 복합상담도 가능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 등과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 출시 및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연계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 등과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 출시 및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연계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이달 30일부터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가 운영된다. 잇다를 통해 서민금융상품 72개 중 맞춤 상품을 안내받고 보증서 발급부터 대출 시행까지 한번에 할 수 있다. 또한, 고용·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을 비대면으로도 받을 수 있게 된다.

27일 금융위원회는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회의를 열고 '서민금융 잇다' 플랫폼 출시와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서민금융 종합플랫폼인 '서민금융 잇다'는 이달 30일부터 운영된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는 본인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받는다. 금융회사에서 제공하는 조건이 좋은 민간서민금융 상품을 우선 안내받고, 이후 이용 가능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의 금리와 한도를 비교해 선택할 수 있다.

플랫폼을 통해 연계되는 상품은 새희망홀씨, 사잇돌대출, 민간 서민금융상품 등 은행권 서민금융상품 14개를 포함해 총 72개다. 잇다에서 이용자는 보증서 발급부터 대출까지 한 번에 시행할 수 있다. 발급한 보증서로 대출실행이 가능한 금융사를 일괄 확인해 선택하고 대출받는 방식이다.

향후 민간 금융회사의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도 필요한 경우, 서민금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민금융 잇다'를 안내하는 등 금융회사와의 연계도 추진할 예정이다.

잇다를 통해 그간 대면으로만 제공해온 고용·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을 비대면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금융상품 이용 전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 연계 서비스를 추천한다. 예컨대 무직이거나 불안정한 직업군을 가진 사람에는 안정적인 소득 창출을 위한 고용지원제도를 연계하고, 저소득자 등에게는 복지를, 연체자에게는 채무조정을 연계한다.

이용자의 대출 상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사후관리도 지원한다. 기존에는 정책서민금융 이용 전 대출상담을 받은 사람에게만 신용·부채 관리컨설팅 등 비금융서비스를 지원했지만, 앞으로는 대출을 받은 이후에도 이용자의 이용자의 재무상황변동을 파악해 금융교육과 신용·부채관리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 등과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 출시 및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연계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및 관계기관 등과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 출시 및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연계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기존 금융-고용 복합지원의 외연을 복지 분야로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방안'도 발표했다.

정책서민금융을 이용하지 않고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고용지원 서비스를 연계받은 후 신규 취업한 고객에게도 신용·부채관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력 확대, 전문성 강화를 통해 복합지원 서비스 접근성도 높인다. 서민금융콜센터 내 복합지원 서비스 의뢰 건 전담 인원을 기존 2명에서 5명 이상으로 2배가량 확대한다.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직원과 지자체 복지 공무원을 대상으로도 상대 분야와 관련된 교육을 신설·강화한다.

법무부·금융감독원 등과 협업해 불법사금융 피해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대한법률구조공단의 법률구조플랫폼을 통해 내년부터 법률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한 고객의 불법사금융 피해(우려)가 확인되는 경우 센터에서 금감원 불법사금융 피해 신고센터에 전달하고, 금감원에서도 불법사금융 피해 상담 시 서민금융 상담을 희망할 경우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전달한다.

이밖에 금융-정신건강 지원 대상자를 전 국민으로 확대하고 상대적 취약차주의 서민금융 거절 내역, 연체자의 정책서민금융 이용 여부 등 위기 정보를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에 추가해 복지 위기가구 발굴에 활용한다.

이날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책 수혜자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기관 간 벽을 허물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복합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며 "앞으로도 서민·취약계층의 자금애로 완화와 더불어 경제적 자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자료제공=금융위원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43,000
    • +1.17%
    • 이더리움
    • 4,767,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1.46%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199,500
    • +0.66%
    • 에이다
    • 546
    • -1.62%
    • 이오스
    • 800
    • -4.42%
    • 트론
    • 178
    • +2.3%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1.27%
    • 체인링크
    • 19,220
    • -3.32%
    • 샌드박스
    • 460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