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자유낙하 경제 되살려” vs 트럼프 “물가상승 탓에 죽어나”

입력 2024-06-28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바이든 "트럼프 전 정권, 인플레에 일부 책임"
트럼프 "바이든 일자리, 불법 이민자 위한 것"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CNN 스튜디오에서 열린 2024년 첫 대선후보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다. 애틀랜타(미국)/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CNN 스튜디오에서 열린 2024년 첫 대선후보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다. 애틀랜타(미국)/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4년 만에 맞붙은 제1차 대선후보 TV 토론회에서 경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전을 펼쳤다.

2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정권 때 코로나19 대응의 문제점을 꼬집으면서 “미국 경제가 자유 낙하하고 있었다”고 주장한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형편 없는 인플레이션 대응이 미국을 죽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전 정부가 코로나19 대유행 대응에 실패하면서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유행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해 많은 미국인이 죽었고 경제가 무너졌다”며 “일자리가 없었다면 실업률이 15%까지 치솟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80만 개 제조업 일자리 창출 등 현 정부의 성과를 언급하면서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급등과 관련해 트럼프 전 정부에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짚었다. 이어 “우리는 식탁 물가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이에 대해 “우리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경제를 갖고 있었다”며 “그의 형편 없는 인플레이션 대응이 절대적으로 우리나라를 죽이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가 창출한 유일한 일자리는 불법 이민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75,000
    • -0.45%
    • 이더리움
    • 2,524,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502,000
    • -2.33%
    • 리플
    • 3,101
    • -4.29%
    • 솔라나
    • 212,100
    • -2.75%
    • 에이다
    • 989
    • -1.79%
    • 이오스
    • 926
    • -3.34%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82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160
    • -2.11%
    • 체인링크
    • 20,740
    • -3.76%
    • 샌드박스
    • 417
    • -2.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