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2023년도 ESG경영이행보고서’ 발간

입력 2024-07-04 17: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경영 활동을 수록한 ‘2023년도 ESG경영이행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캠코는 대내외 이해관계자와 ESG경영 활동 및 성과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공공서비스 플랫폼으로의 도약 노력을 전달하고자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기관소개 △ESG 체계 △ESG 성과 △ESG 데이터의 네 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특히 ESG 성과 부문에서는 캠코의 ESG경영전략에 기반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의 주요성과가 중점적으로 기술됐다.

먼저 환경 부문에서는 △ISO 14001 인증 대상 확대(12개 지역본부와 지사), 환경경영전략 수립 등 환경경영 고도화 △친환경 공공건축 확대, 친환경 차 인프라 구축, 탄소 중립 숲 조성 등 탄소 중립 이행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운영, 소상공인 포장 용기 지원, ESG채권 발행 확대 등 친환경 경영 활동 강화 노력이 소개됐다.

사회 부문에서는 △가계·기업·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동반성장 체계 확립 △인권경영 내재화 및 구성원에 평등한 기회제공 등 임직원과의 동행 △지속가능한 안전보건 및 보안 △체계적 사회공헌 활동, 취약계층 지원,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와의 상생 노력이 수록됐다.

지배구조 부문에서 △이사회의 전문성 및 투명성 강화 등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 △청렴 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CP) 최초 도입 등 청렴·윤리경영 강화 △스마트 감사·통합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등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 강화 노력이 기술됐다.

캠코는 이번 보고서 발간에 앞서 대내외 환경 분석을 거쳐 ESG경영 이슈 풀을 구성해, 기존 대비 고도화된 중대성 평가를 해 5개의 핵심이슈를 선정하고, 핵심이슈와 관련된 활동과 성과를 보고서에 충실히 담았다.

캠코는 국제표준 가이드라인 GRI Standards 기준과 AA1000AP에서 제시하는 원칙을 준수하는 등 제3자 검증을 통해 보고서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강화했다. 보고서 내 관련 페이지로의 이동 기능이 포함된 인터랙티브 PDF 형식으로 발간하여 이해관계자의 열람 편의성도 높였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지난해 캠코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공공부문 ESG 경영을 선도했다”며 “앞으로도 캠코는 ESG경영, 성과의 계량적 측정 및 환류, 이해관계자와 함께하는 ESG경영 확산 등을 과제로 지속가능한 공공서비스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38,000
    • +2.34%
    • 이더리움
    • 2,385,000
    • +4.74%
    • 비트코인 캐시
    • 475,500
    • +6.61%
    • 리플
    • 3,104
    • +6.19%
    • 솔라나
    • 188,000
    • +7.98%
    • 에이다
    • 951
    • +5.08%
    • 이오스
    • 929
    • +2.65%
    • 트론
    • 360
    • +3.15%
    • 스텔라루멘
    • 356
    • +4.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40
    • +2.87%
    • 체인링크
    • 19,100
    • +4.83%
    • 샌드박스
    • 391
    • +3.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