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어려워진 ATM, 은행권 ATM 6년새 1만4000여개 철수 [포토]

입력 2024-07-24 14: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붙어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붙어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붙어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붙어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금융당국의 마구잡이식 은행 점포 폐쇄 제한에도 불구하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철수는 여전히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2023년 1646개, 올해(~6월) 660개가 사라졌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지점 수는 1003개로 집계됐다. 은행별 지점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179개, 우리은행 161개, 국민은행·하나은행 159개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 영업점 통합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김도영도 모르는 'Who? Special 김도영' 책 출판 논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847,000
    • +1.73%
    • 이더리움
    • 2,554,000
    • +1.31%
    • 비트코인 캐시
    • 518,500
    • +0.78%
    • 리플
    • 3,157
    • +2.27%
    • 솔라나
    • 222,700
    • +5.15%
    • 에이다
    • 1,037
    • +6.25%
    • 이오스
    • 975
    • +5.52%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406
    • +7.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00
    • +19.29%
    • 체인링크
    • 21,770
    • +5.83%
    • 샌드박스
    • 443
    • +7.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