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분기 GDP 성장률 호실적 예상…"골디락스 경제 따르고 있어"

입력 2024-07-25 15: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탄탄한 소비 지출이 미국 경제 성장 이끌어
높은 실업률에도 고용 지표는 좋은 징조

▲2022년 9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2022년 9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25일(현지시간) 발표되는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회복할 것으로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9월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발표되는 2분기 GDP 성장률이 탄탄한 소비 지출에 힘입어 2.0%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분기는 1.4%보다 높은 정도다. 이로 인해 다음 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에 반가운 소식이 들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지금껏 연준의 대규모 금리 인상에 실업률이 지난달 4.1%로 2021년 이후 처음으로 4%를 넘었지만, 노동 시장의 회복력으로 여전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높은 실업률에도 과거보다 미국 고용과 실업 지표가 평범한 수준으로 바뀌고 있어 좋은 징조로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스턴대학교(BU)의 브라이언 베쑨 경제학 교수는 "미국 경제는 더딘 성장과 낮은 인플레이션율로 '적당한 상태'를 유지하는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를 따르고 있다"며 "소비자 지출이 경제를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로이터통신은 미국 경제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소비 지출이 2분기 약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1분기의 1.5% 증가율보다 높은 정도다. 2분기 6월에 여름 휴가, 할인 행사 등이 몰려있어 특정 기간에 집중됐다고 로이터통신이 분석했다.

한편, 기업 재고 증가에도 2분기 GDP 성장률에 최소한 1%포인트(p)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두 개 분기 동안 재고 축적이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되는 수치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경제학자들은 2분기 GDP 성장률을 2.4% 정도로 제한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2분기 GDP 성장률이 상승이 인플레이션 둔화의 좋은 신호라고 풀이했다. 시장에서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 구성 요소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1분기 3.7% 속도로 급등한 후 2.7%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700,000
    • +2.22%
    • 이더리움
    • 3,800,000
    • +9.64%
    • 비트코인 캐시
    • 580,500
    • +0.96%
    • 리플
    • 3,636
    • +3.53%
    • 솔라나
    • 255,900
    • +6.4%
    • 에이다
    • 1,174
    • +3.8%
    • 이오스
    • 1,254
    • +1.13%
    • 트론
    • 382
    • -0.78%
    • 스텔라루멘
    • 443
    • +1.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150
    • +2.51%
    • 체인링크
    • 24,730
    • +6.5%
    • 샌드박스
    • 513
    • +2.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