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요타 주 4일 근무 검토…미국차 확산 여부에 주목

입력 2024-07-25 16: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서 정착하면 미국 도입 불가피
UAW 주 4일제 주장 후 동시파업업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일부 사무직을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를 도입한다. 지난해 주 4일제를 요구하며 동시 파업까지 추진했던 미국자동차산업노조(UAW)에 관련 논의가 재점화할지 주목된다.

25일 오토모티브뉴스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일본 도요타는 희망자가 주 4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을 재편 중이다. 앞서 도요타는 일하는 방식에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이번 주 4일 근무제 역시 회사 측이 노동조합에 먼저 제시하고 협상 중이다.

대상은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무직 등 최대 3만8000명이다. 근무하는 날에는 근무 시간을 늘려 전체 근로시간을 유지한다. 임금 수준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사무직에서 효과를 확인된다면 생산직까지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미국 정치권에서도 올해 초 주 4일제 논의가 본격화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진보 정치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이‘주4일 근무’ 입법 발의에 대해 미국 내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샌더스 상원의원은 지난 3월 초과근무 수당 지급 기준이 되는 표준 근로시간을 주간 40시간에서 32시간으로 낮추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이런 가운데 도요타의 주 4일 근무 확산은 곧 미국자동차노조(UAW)에도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4만6000명의 노조원을 거느리고 있는 UAW는 지난해 주 4일제를 공식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UAW의 숀 페인 회장은 최근 페이스북 라이브(Facebook Live)에서 노조의 요구를 설명하는 연설에서 주 4일제 근무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우리 조합원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주당 60시간, 70시간, 심지어 80시간을 일하고 있다”라며 “그것은 살아있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겨우 생존하고 있을 뿐이다. 이것은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42,000
    • +0.13%
    • 이더리움
    • 2,608,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07,000
    • -0.59%
    • 리플
    • 3,350
    • +6.48%
    • 솔라나
    • 217,800
    • +1.63%
    • 에이다
    • 1,037
    • +2.78%
    • 이오스
    • 985
    • +1.23%
    • 트론
    • 355
    • -1.93%
    • 스텔라루멘
    • 418
    • +0.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250
    • -6.12%
    • 체인링크
    • 21,560
    • +2.42%
    • 샌드박스
    • 437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