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흰우유 가격 동결... 원유 가격도 안 올린다 [포토]

입력 2024-07-30 15: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우유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우유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치즈 제품들을 진열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치즈 제품들을 진열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우유 원유 가격 인상을 두고 협상을 벌이던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1084원으로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당 5원 내리기로 했다. 가용유용 원유 가격은 내달 1일부터 887원에서 882원으로 더 싸진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리터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올릴 수 있었지만,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1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올해는 가격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우유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이틀째…휴교 이어 주민대피령 안내문자 이어져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00,000
    • +1.34%
    • 이더리움
    • 2,595,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508,500
    • +1.8%
    • 리플
    • 3,316
    • +2.19%
    • 솔라나
    • 213,100
    • -0.23%
    • 에이다
    • 1,013
    • -0.49%
    • 이오스
    • 995
    • +3%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407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550
    • -2.87%
    • 체인링크
    • 21,700
    • +3.09%
    • 샌드박스
    • 432
    • +1.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