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셀트리온, 스텔라라 시밀러 ‘스테키마’ “캐나다 승인”

입력 2024-07-31 08: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TNF-α 저해제 이어 인터루킨(IL) 억제제로 확장 자가면역질환 포트폴리오 강화

셀트리온(Celltrion)은 31일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로부터 ‘스텔라라(STELARA, ustekinumab)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STEQEYMA, CT-P43)’에 대한 신약허가신청(New Drug Submission, NDS)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 승인으로 셀트리온은 캐나다서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등의 적응증으로 스테키마 판매가 가능해졌다.

셀트리온은 지난 6월 국내에서 스테키마를 허가받고, 유럽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승인권고 의견을 받았다. 셀트리온은 다른 글로벌 주요국 허가절차도 진행해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승인으로 북미 시장 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앞서 출시된 램시마, 램시마SC(미국 판매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기존 TNF-α 저해제 제품군에 더해 인터루킨(IL) 저해제 제품까지 치료제 영역을 확장하면서 대상 환자 범위도 확대될 것으로 셀트리온은 전망했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우스테키누맙 시장 규모는 204억달러(한화 26조5200억원)에 달한다. 이중 캐나다 시장 규모는 6억6300만달러(한화 8619억원) 수준이지만, 미국까지 포함한 전체 북미 시장 규모는 163억7500만달러(한화 21조2875억원)로 글로벌 시장의 80%가 넘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캐나다는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장려하는 대표적 친(親) 바이오시밀러 정책 도입국으로, 캐나다에서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한 셀트리온의 영향력은 점차 커질 것”이라며 “나아가 북미 지역은 우스테키누맙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만큼, 스테키마의 이번 캐나다 승인이 북미 시장 공략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오는 2025년까지 11개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확보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64,000
    • +0.39%
    • 이더리움
    • 2,538,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505,500
    • -1.84%
    • 리플
    • 3,182
    • -0.19%
    • 솔라나
    • 215,100
    • -0.55%
    • 에이다
    • 1,050
    • +5.11%
    • 이오스
    • 970
    • +1.78%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399
    • +4.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080
    • +0.82%
    • 체인링크
    • 21,370
    • +0.38%
    • 샌드박스
    • 430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