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육아공무원 주 1회 재택근무...서울시, 일·육아 양립 앞장

입력 2024-07-31 17: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청 전경.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육아하기 좋은 일터 만들기에 앞장선다. 주 1회 재택근무를 의무화하고, 육아시간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평가 제도도 개선한다. 일과 육아 양립이 가능한 조직문화를 조성해 저출생 위기에 적극 대응다는 방침이다.

31일 서울시는 1일부터 8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이 의무적으로 주 1회 재택근무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시 재직 육아공무원(만 8세 이하 자녀) 총 1490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의무화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반영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895명) 중 89.6%가 ‘재택근무가 일과 육아 병행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고, ‘재택근무 의무화에 찬성한다’고 답한 비율은 88.3%에 달했다.

재택근무 선호 이유로 ‘통근시간 단축을 통한 자녀 등하원, 등하교 지원’을 꼽은 응답자(446.6%)가 가장 많았다. 응답자 중 왕복 통근에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48.6%), 2시간 이상~3시간 미만(34.3%)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질병, 사고 등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재택근무를 선호한다고 답한 비율은 22.8%로 뒤를 이었다. 재택근무 의무화 시 적절한 횟수는 주 1회(57.0%), 주 2회(23.4%), 월 2회(12.2%) 순이었다.

눈치 보지 않고 육아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병행한다. 현행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라 8세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은 1일 2시간의 육아시간을 36개월간 사용할 수 있다. 8월부터 부서별 육아시간 사용률을 평가해 높은 부서를 분기마다 표창한다. 내년부터는 4급 이상 공무원 목표달성도 평가에 육아공무원의 재택·유연 근무 사용 실적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시는 밝혔다.

육아휴직 후 복직하는 직원의 조직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직무교육을 마련해 일과 육아 병행에 따른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복직자 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신혼 및 육아 공무원 대상 주거지원을 강화해 높은 주거비 부담도 덜어준다. 올해 공무원 전세자금 융자지원 대상 신혼부부 인정 기준을 완화한 데 이어 내년엔 융자 한도를 확대한다.

이동률 서울시 행정국장은 “그동안 일과 육아 양립은 저출생 문제 해결의 중요한 실마리로 여겨져 온 만큼 서울시가 앞장서서 아이 키우기 좋은 일터를 만들어 나가려고 한다”며 “출산·육아에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하려는 서울시의 노력이 자치구, 산하기관, 민간까지 확대돼 저출생 위기 극복의 단초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65,000
    • +1.21%
    • 이더리움
    • 2,654,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440,300
    • +0.57%
    • 리플
    • 3,118
    • +4.53%
    • 솔라나
    • 178,000
    • +5.33%
    • 에이다
    • 970
    • +4.08%
    • 이오스
    • 1,193
    • -1.57%
    • 트론
    • 355
    • +1.72%
    • 스텔라루멘
    • 381
    • +1.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780
    • +0.92%
    • 체인링크
    • 18,860
    • +2.06%
    • 샌드박스
    • 388
    • +1.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