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용인특례시 '광역 긴급차량 우선 신호', 이송시간 55%↓

입력 2024-08-02 09: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용인시, 강남병원·아주대학교 이송 시연 결과...10월부터 지자체 경계 넘은 긴급차량에 운영

▲용인특례시의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개념도. (용인특례시)
▲용인특례시의 '광역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개념도. (용인특례시)
용인특례시가 응급환자 이송 등을 위해 최근 구축한 ‘광역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이송시간을 55%나 단축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대형 화재나 위급상황 발생 시 경우 시·군 경계를 넘어 출동하는 긴급차량이 정지신호를 받지 않고 우선신호를 받아 목적지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첨단 신호체계다.

이 사업은 시가 국토교통부의 공모에서 선정된 ‘2023년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사업’ 중 가장 중요한 분야로 꼽힌다.

용인시는 그동안 지역 내에서만 운영됐던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인근 지역까지 확대해 달라는 지역 내 소방서의 요구를 반영, ‘광역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자체 경계의 제약 없는 응급체계를 마련했다.

지난달 30일 수원시, 경찰과 소방이 함께 한 시연회에서 용인 강남병원에서 6.6㎞ 떨어진 수원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까지 환자를 이송하는 상황을 설정했다.

구간별 실제 통행시간을 측정해 긴급차량의 도착시간을 확인한 결과 우선 신호시스템 적용 전 16분 13초 소요됐던 것이 시스템 적용 후 7분 20초로 55%나 단축하는 결과가 나왔다.

시는 이날 시험운행 결과를 분석해 시스템 실효성을 더욱 높이는 등의 준비를 거쳐 9월 중 ‘광역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 표준규격이 확정되면 10월부터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10월까지 기존에 운영 중인 오프라인 신호제어기 400개소를 온라인 신호로 변경 구축하고, 경찰서와 협의해 출퇴근 시간 신호체계 개선 및 ‘광역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할 방침이다.

시연회에 참석한 황준기 제2부시장은 “광역긴급차량 우선 시스템 구축으로 대형화재 등 재난 발생시 지자체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긴급차량들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권역별 응급의료센터가 설치된 인근 대형병원으로 위급환자를 신속히 이송해 귀중한 생명을 지켜줄 수 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오늘 오후 3시 전원합의체 선고…TV 등 생중계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26조 원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 7일 최종 계약 [종합]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미국 3년만 분기경제 역성장에 혼조 마감...다우 0.35%↑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99,000
    • +0.25%
    • 이더리움
    • 2,609,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532,500
    • +2.6%
    • 리플
    • 3,177
    • -1.27%
    • 솔라나
    • 214,700
    • +2.04%
    • 에이다
    • 993
    • -0.9%
    • 이오스
    • 978
    • +0%
    • 트론
    • 358
    • +1.99%
    • 스텔라루멘
    • 393
    • -1.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850
    • -0.27%
    • 체인링크
    • 20,970
    • -0.29%
    • 샌드박스
    • 429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