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려되는 외국 기관'으로 안보 해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율주행차와 커넥티드카에 중국산 소프트웨어 사용을 금지한다. 중국산 전기자동차 고율 관세 부과에 이어 중국 기술에 대한 견제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내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에 중국산 소프트웨어를 쓰는 것을 금지할 계획이다. 레벨3은 국제자동차공학회(SAE)가 정의한 단계로 전체적인 운전자 개입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는 자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정도다.
또한 미국 정부는 중국이 개발한 첨단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된 차량의 미국 도로 주행을 제한할 예정이다. 해당 규정이 시행되면 미국 자율주행ㆍ커넥티드차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소식통 “자동차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는 중국과 같은 ‘우려되는 외국 기관(foreign entity of concern)’에서 제작된 소프트웨어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미 상무부는 커넥티드카 관련 안보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회의를 주최했다. 이어 8월 중 관련 규제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회의에는 한국, 일본,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EU) 등 9개국이 참여해 커넥티드카와 관련된 데이터와 사이버보안 위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관련 뉴스
미국 정부는 중국이 커넥티드카에 설치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차량 탑승자의 말을 도청ㆍ녹음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5월 “자율주행차 안보 위험이 매우 크고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에 즉각 대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