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요동지시(遼東之豕)/망

입력 2024-08-06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 테오도르 아도르노 명언

“다른 사람의 힘 때문에 바보같이 굴어서는 안 되고, 자신의 무기력 때문에 바보같이 굴어서도 안 된다.”

독일 철학자.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중심인물이었다. 그는 체계성을 거부하고 근대문명에 대하여 독자적인 비판을 제시했다. 대표 저서는 ‘부정적 변증법(否定的辨證法)’, ‘권위주의적 인간’. 오늘은 그가 숨을 거둔 날. 1903~1969.

☆ 고사성어 / 요동지시(遼東之豕)

‘요동의 돼지라’는 뜻이다. 견문이 얕고 좁은 사람을 비유한다. 출전 후한서(後漢書) 권33 주부전(朱浮傳). 후한(後漢) 주부(朱浮)가 유주목(幽州牧) 때 어양태수(漁陽太守) 팽총(彭寵)이 항명하며 군대를 일으켜 공격하자 서신을 보내 질책한 말에 나온다. “옛날 요동 지방에 어떤 돼지가 흰 머리의 새끼를 낳자 돼지 주인이 이를 기이하게 여겨 황제에게 진상하려고 했네. 궁으로 가는 하동 지역을 지날 때 눈에 보이는 돼지가 모두 흰색인 것을 보고는 몹시 부끄러워하며 돌아왔다고 하지. 만일 그대의 공을 조정에 논한다면 그저 요동의 돼지일 뿐일 것이야[則爲遼東豕也].”

☆ 시사상식 / 망(MAANG)

미국 IT 산업을 선도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마존(Amazon), 애플(Apple), 넷플릭스(Netflix), 구글(Google)의 앞글자를 딴 용어다.

미국의 경제방송인 CNBC의 짐 크래머가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ix), 구글(Google)을 일컬어 FA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자 주식시장에서는 애플을 넣어 FAANG을 사용했다. 그러다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건으로 내림세를 보인 페이스북을 빼고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해 이 용어가 생겨났다.

☆ 속담 / 바보는 약으로 못 고친다

날 때부터 못나고 어리석은 사람은 어쩔 수 없다는 말이다.

☆ 유머 / 좀 나은 바보

술 취한 두 남자가 지하철을 탔다. 다정하게 얘기를 나누던 둘이 사소한 일로 말다툼하더니 이내 멱살을 잡는 사태로 발전했다.

분을 못 이긴 남자가 내려서 결판을 보자며 지하철을 내려 다른 남자에게 “바보야, 빨리 내려!”라고 손짓했다.

남자는 끝내 내리지 않고 지하철이 출발하자 다른 승객들에게 들으라고 한 말.

“바보! 이게 막찬데.”

채집/정리: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872,000
    • +1.23%
    • 이더리움
    • 2,262,000
    • -1.09%
    • 비트코인 캐시
    • 454,500
    • +3.44%
    • 리플
    • 2,933
    • -0.95%
    • 솔라나
    • 175,100
    • +2.34%
    • 에이다
    • 907
    • -1.63%
    • 이오스
    • 877
    • -6.7%
    • 트론
    • 356
    • +2.01%
    • 스텔라루멘
    • 342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30
    • +0%
    • 체인링크
    • 18,240
    • -0.55%
    • 샌드박스
    • 377
    • -1.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