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8%대 폭락, 반대매매·트레이딩 청산 겹쳤을 가능성…정상적 조정 아냐’

입력 2024-08-06 0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 지수가 8% 넘게 폭락하며 2441대로 마감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4.64(8.77%)포인트 하락한 2441.55를 코스닥은 88.05(11.30%)포인트 하락한 691.28을 나타냈다. 앞서 이날 한국거래소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도 호가 일시효력정지)에 이어 매매가 일시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했다. 서킷브레이커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지수가 8% 이상 하락하면 발동된다.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고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코스피 지수가 8% 넘게 폭락하며 2441대로 마감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4.64(8.77%)포인트 하락한 2441.55를 코스닥은 88.05(11.30%)포인트 하락한 691.28을 나타냈다. 앞서 이날 한국거래소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도 호가 일시효력정지)에 이어 매매가 일시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했다. 서킷브레이커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지수가 8% 이상 하락하면 발동된다. 모든 주식거래가 20분간 중단되고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거래가 재개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전날 국내 증시 급락을 정상적 조정으로 볼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각각 8%, 11% 넘게 하락했다.

6일 유진투자증권은 "국내 주식시장의 전날 하락은 침체 우려, 인공지능(AI) 버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 여러 배경이 있었지만 과도했다. 이는 반대매매 또는 시스템 트레이딩 청산 등이 겹쳤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과거 코스피가 7~8% 하락했던 사례는 911테러,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19였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과연 지금 시장이 그때만큼 위험한지 잘 모르겠다"라며 과거 이러한 주가 급락 후 시차를 두고 주가가 복원되는 경험들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역대 코스피 일일 급락 또는 급등 사례를 보면 시기가 유사하다. 과도한 주가 하락 후 주가 급등으로 이어졌던 사례들도 있다"며 "코스피는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바닥에 접근 중이다. 코스피 2441포인트 대에서 12개월 예상 PER은 8.7 배로 바닥 국면에 거의 접근했다. 2006년 이후 PER 바닥은 7~8배였다"고 짚었다.

KOSPI 12개월 후행 PBR은 0.88 배까지 밀렸다. 코로나 19 당시 0.63배를 제외하면 0.8배 초중반에서 PBR 저점이 형성됐다. 그는 "넘어야 할 고비가 많지만 밸류에이션 상으로는 바닥에 접근 중"이라며 "추가적인 주가 하락 폭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54,000
    • -1.6%
    • 이더리움
    • 2,668,000
    • -3.68%
    • 비트코인 캐시
    • 447,800
    • -0.95%
    • 리플
    • 3,013
    • -3.74%
    • 솔라나
    • 172,200
    • -7.57%
    • 에이다
    • 953
    • -5.08%
    • 이오스
    • 1,173
    • -0.17%
    • 트론
    • 344
    • -2.55%
    • 스텔라루멘
    • 384
    • -3.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620
    • -4.78%
    • 체인링크
    • 18,990
    • -4.81%
    • 샌드박스
    • 380
    • -4.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