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10일 수출 16.7%↑…반도체 42.1% 늘어
조업일수 전년 대비 0.5일 줄어도 플러스…일평균 수출은 24.0% 증가
산업부 "IT·자동차·선박 등 주력 품목 중심으로 수출 우상향 흐름"

10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 중인 한국 수출이 8월의 시작도 두 자릿수 증가세로 문을 열었다. 조업일수가 0.5일 적었음에도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반도체가 42.1%로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고, 승용차와 선박 등 주력 품목도 수출액이 크게 늘었다.
관세청이 12일 발표한 8월 1∼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54억7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7% 증가했다.
특히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적었음에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8월 1~10일 사이 조업일수는 8.0일로 지난해 8.5일과 비교해 0.5일이 적었다. 이에 따라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0% 증가했다.
한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2022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10월 플러스 전환에 성공,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관련 뉴스
품목별로는 한국 수출의 기둥인 반도체가 42.1% 늘며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반도체 수출액은 월간 기준으로 작년 11월부터 플러스로 전환하며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전체 수출 품목 중 반도체 수출 비중은 22.5%로 4.0%포인트가 늘었다. 2분기만 놓고 보면 20.3%를 기록해 지난해 2분기(14.5%)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는 올해 메모리 가격 상승과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에 따른 인공지능(AI) 서버 출하량 증가 등 전방 산업 수요 회복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어 수출 전망이 밝다.
이와 함께 승용차(63.9%), 선박(253.0%), 석유제품(5.5%), 철강제품(10.5%) 등 정밀기기(-10.6%)를 제외한 주요 품목도 모두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10.7%), 미국(27.7%), 베트남(3.6%), 유럽연합(18.2%), 일본(11.9%), 대만(71.5%) 등 주요 국가 중 싱가포르(-29.8%)와 말레이시아(-10.3%)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의 수출 상위 3개국인 중국과 미국, 베트남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8%로 나타났다.
이달 1∼10일 수입액은 184억700만 달러로 13.4% 증가했다.
원유(83.5%), 반도체(14.7%), 가스(62.8%), 기계류(9.0%), 반도체 제조장비(2.9%) 등은 수입액이 늘었다. 반면, 석탄(-24.9%), 승용차(-25.2%) 등은 줄었다.
국가별로는 중국(5.0%), 미국(16.0%), 일본(17.2%), 호주(34.8%), 사우디아라비아(113.6%) 등 유럽연합(-0.7%)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수입이 증가했다.
이 기간 무역수지는 29억3400만 달러 적자였다. 올해 누계로는 238억7700만 달러 흑자다. 월간 무역수지는 지난달까지 14개월째 흑자를 기록 중이다.
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10일까지 수출은 반도체·선박 등 주력 품목 호조세로 지난달에 이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라며 "8월은 하계 휴가 등 계절적 요인의 영향권임에도 반도체를 포함한 IT품목과 자동차·선박 등 주력 품목 중심으로 수출 우상향 흐름이 이어지면서, 무역수지 또한 월말로 갈수록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