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10일 수출 16.7%↑…반도체 42.1% 늘어
전체 수출 품목 중 반도체 비중 22.5% 달해…반도체 쏠림 우려도

10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 중인 한국 수출이 8월의 시작도 두 자릿수 증가세로 문을 열었다. 조업일수가 0.5일 적었음에도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반도체가 42.1%로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지만 반대로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5%에 달하면서 반도체 쏠림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관세청이 12일 발표한 8월 1∼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54억7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7% 증가했다.
특히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적었음에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8월 1~10일 사이 조업일수는 8.0일로 지난해 8.5일과 비교해 0.5일이 적었다. 이에 따라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0% 증가했다.
한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2022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10월 플러스 전환에 성공,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관련 뉴스
품목별로는 한국 수출의 기둥인 반도체가 42.1% 늘며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반도체 수출액은 월간 기준으로 작년 11월부터 플러스로 전환한 뒤 올해 4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50% 이상의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반도체는 올해 메모리 가격 상승과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에 따른 AI 서버 출하량 증가 등 전방 산업 수요 회복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어 수출 전망이 밝다.
다만 우려스러운 점은 한국 수출의 반도체 쏠림 현상이다. 이달 들어 10일까지의 전체 수출 품목 중 반도체 수출 비중은 22.5%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포인트가 늘었다. 2분기 전체를 놓고 봐도 20.3%를 기록해 지난해 2분기(14.5%)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4분기(20.01%) 처음으로 분기 기준 20%를 넘긴 후 최근까지 10% 후반∼20% 초반을 오르내리고 있다.
작년에는 반도체 시황 부진으로 수출에서 고전하면서 이 비중이 1분기 13.6%, 2분기 14.5%로 낮아졌으나, 올해 반도체 시황이 개선되면서 1분기 19.0%에 이어 2분기 20.3%로 상승해 다시 20% 선으로 올라섰다.
이에 대해 김우종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한국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편중돼 있어 수출 품목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일본과 대만 등 주요국도 각각 자동차와 반도체에 집중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라며 "장기적인 수출 품목 및 시장 다변화는 꼭 필요한 일이지만, 지금 잘하고 성장하는 분야에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외에도 이달 10일까지 수출 품목 중 승용차(63.9%), 선박(253.0%), 석유제품(5.5%), 철강제품(10.5%) 등 정밀기기(-10.6%)를 제외한 주요 품목도 모두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10.7%), 미국(27.7%), 베트남(3.6%), 유럽연합(18.2%), 일본(11.9%), 대만(71.5%) 등 주요 국가 중 싱가포르(-29.8%)와 말레이시아(-10.3%)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의 수출 상위 3개국인 중국과 미국, 베트남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8%로 나타났다.
이달 1∼10일 수입액은 184억700만 달러로 13.4% 증가했다.
원유(83.5%), 반도체(14.7%), 가스(62.8%), 기계류(9.0%), 반도체 제조장비(2.9%) 등은 수입액이 늘었다. 반면, 석탄(-24.9%), 승용차(-25.2%) 등은 줄었다.
국가별로는 중국(5.0%), 미국(16.0%), 일본(17.2%), 호주(34.8%), 사우디아라비아(113.6%) 등 유럽연합(-0.7%)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수입이 증가했다.
이 기간 무역수지는 29억3400만 달러 적자였다. 올해 누계로는 238억7700만 달러 흑자다. 월간 무역수지는 지난달까지 14개월째 흑자를 기록 중이다.
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10일까지 수출은 반도체·선박 등 주력 품목 호조세로 지난달에 이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라며 "8월은 하계 휴가 등 계절적 요인의 영향권임에도 반도체를 포함한 IT품목과 자동차·선박 등 주력 품목 중심으로 수출 우상향 흐름이 이어지면서, 무역수지 또한 월말로 갈수록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