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빚+가계빚 3000조↑…세수결손·부동산 영끌 여파

입력 2024-08-25 13: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분기 국가채무 1146조·가계신용 1896조
전분기比 44조↑…코로나 이후 최대폭 증가
7월까지 국고채 발행 116조…年 한도 73.2%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앞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안내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앞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안내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올해 2분기 말 기준 정부와 가계가 진 빚의 총액이 처음으로 3000조 원을 돌파했다. 경기 부진에 따른 법인세수 급감 등 나라살림이 빠듯해지면서 상반기 국채 발행이 증가한 데다 이른바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구매) 등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늘어서다.

25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국가채무(중앙정부 기준)와 가계신용은 각각 1145조9000억 원과 1896조2000억 원으로 총 3042조1000억 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넓은 의미의 가계부채다.

이는 전분기(2998조 원) 대비 약 44조 원 증가한 것으로 올해 1분기 증가 폭(20조 원)의 2배를 웃돌았다. 코로나19 사태가 정점에 달했던 2021년 3분기(63조 원) 이후 11분기 만의 최대 폭 증가다.

2분기 말 국가채무는 전분기보다 30조4000억 원 증가했다. 2분기까지 누계 국세수입은 168조6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0조 원 감소했다. 소득세(2000억 원)와 부가가치세(5조6000억 원)가 올랐지만, 기업실적 저조로 법인세가 16조1000억 원 대폭 감소한 영향으로, 2년 연속 세수결손이 유력한 상황이다. 여기에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기조가 맞물리면서 국고채 발행이 늘었고 나랏빚으로 직결됐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국고채 발행량은 115조9000억 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의 73.2%다. 최근 3년간 평균 비율(67.9%)보다 빠르다.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은 전분기보다 13조8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2년 이래 최대 규모다. 카드 사용액을 뺀 가계대출은 1780조 원으로 작년 말(1766조4000억 원)과 비교해 13조6000억 원 증가했는데, 증가분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에 집중됐다. 주담대는 1092조7000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16조 원 증가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매매량이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

급증한 가계부채는 전국적인 소비 부진으로 나타나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중 충남(4.0%)·충북(0.7%)을 제외한 15곳에서 감소했다. 특히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든 울산(-7.9%), 인천(-7.2%), 서울(-6.8%)의 감소 폭이 컸다. 충남의 경우 통계 조사 기간 국제 미술전이 열려 일시적으로 소비가 늘어났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48,000
    • +1.8%
    • 이더리움
    • 2,673,000
    • +0.75%
    • 비트코인 캐시
    • 442,900
    • +0.93%
    • 리플
    • 3,141
    • +3.32%
    • 솔라나
    • 180,900
    • +5.79%
    • 에이다
    • 976
    • +3.06%
    • 이오스
    • 1,160
    • -5.77%
    • 트론
    • 354
    • +1.14%
    • 스텔라루멘
    • 38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460
    • +1.34%
    • 체인링크
    • 19,140
    • +1.86%
    • 샌드박스
    • 387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