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영동양수발전소 1·2 토건공사 계약…5538억 원 일감 공급

입력 2024-08-30 16: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가운데)가 30일 서울 방사선보건원에서 박상신 DL이앤씨 사장(왼쪽) 및 임옥경 지평토건 사장(오른쪽)과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가운데)가 30일 서울 방사선보건원에서 박상신 DL이앤씨 사장(왼쪽) 및 임옥경 지평토건 사장(오른쪽)과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5500억 원 규모의 일감 공급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탠다.

한수원은 30일 서울 방사선보건원에서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낙찰자로 선정된 DL이앤씨·지평토건과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약 5538억 원이다.

이번 계약으로 건설 기간 토목, 건축 등과 관련된 협력기업에도 대규모 일감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지역 경제에도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입찰은 공사수행능력, 시공계획 및 입찰가격 등을 종합심사해 낙찰자를 선정하는 종합심사낙찰제를 적용했다. 5월부터 국내 건설사를 상대로 입찰을 시행하여 종합점수가 가장 높은 DL이앤씨 컨소시엄을 낙찰자로 선정했다.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건설사업은 이달 2일에 실시계획 승인을 취득했으며, 11월 본공사인 모선터널 굴착을 시작으로, 2030년 9월 1호기, 12월 2호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동양수발전소는 500MW(메가와트) 규모로, 전체 건설사업비는 1조2000억 원에 달한다. 발전소가 건설되면 해마다 약 800GWh(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양수발전소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일종의 배터리 역할을 수행해 국가 에너지안보 강화는 물론, 탄소중립에도 그 역할이 막중하다"라며 "이번 토건공사 계약체결을 시작으로 양수발전소 건설을 본격 추진해 건설 및 운영 기간 지역주민 고용을 비롯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오늘 오후 3시 전원합의체 선고…TV 등 생중계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26조 원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 7일 최종 계약 [종합]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미국 3년만 분기경제 역성장에 혼조 마감...다우 0.35%↑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99,000
    • +0.25%
    • 이더리움
    • 2,609,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532,500
    • +2.6%
    • 리플
    • 3,177
    • -1.27%
    • 솔라나
    • 214,700
    • +2.04%
    • 에이다
    • 993
    • -0.9%
    • 이오스
    • 978
    • +0%
    • 트론
    • 358
    • +1.99%
    • 스텔라루멘
    • 393
    • -1.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850
    • -0.27%
    • 체인링크
    • 20,970
    • -0.29%
    • 샌드박스
    • 429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