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9.53% 하락…M7 등 기술주 중심 낙폭 확대

입력 2024-09-04 08: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제조업 부진 지표 나오면서 투자 심리 위축
엔비디아, 미 법무부 반독점 조사에 시간 외 하락
애플ㆍ테슬라ㆍMS 등 M7 일제히 1% 이상 ↓

▲휴대폰 화면에 엔비디아 로고가 보인다. 출처 로이터연합뉴스
▲휴대폰 화면에 엔비디아 로고가 보인다. 출처 로이터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인텔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이 두드러진 주가 움직임을 나타냈다.

인공지능(AI) 대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9.53% 하락하면서 108 달러(약 14만4828 원)에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는 하루 동안 시가총액 2789억 달러가 증발했다. 역사상 가장 큰 일일 시총 손실을 기록이다. 현재 엔비디아 시총은 2조6490억 달러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은 3위다.

아울러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미국 법무부는 AI 반도체 시장을 독점하는 엔비디아를 조사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다른 기업들에 소환장을 보냈다. 이 소식에 엔비디아는 시간외거래에서 낙폭을 확대하는 중이다.

미국 전통 반도체 기업 인텔의 주가가 전일 대비 8.8% 급락한 20.1달러에 마감했다. 인텔은 최근 실적 악화를 겪으면서 전날 대규모 사업 구조조정에 돌입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텔은 이번 달 예정된 이사회에서 사업 구조조정안을 발표하며 사업 분할은 물론 매각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조정 옵션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 등은 인텔의 사업 축소 및 분리·매각 검토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인텔은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 등을 뛰어넘는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마이크론)는 7.96% 급락해 88.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공급 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7.2로 5개월 연속 50을 밑돌면서 기술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PMI는 7월 46.8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시장 전망치 47.5에는 못 미쳤다.

이날 미국 증시 대표 기술주 7종목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도 일제히 하락했다. 애플 2.72%, MS 1.85%, 알파벳 3.94%, 아마존 1.26%, 메타 1.83%, 테슬라 1.64% 등 1% 이상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73,000
    • +1.73%
    • 이더리움
    • 2,672,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446,700
    • +1.78%
    • 리플
    • 3,186
    • +6.2%
    • 솔라나
    • 177,800
    • +5.64%
    • 에이다
    • 975
    • +4.5%
    • 이오스
    • 1,161
    • -1.78%
    • 트론
    • 348
    • -0.85%
    • 스텔라루멘
    • 379
    • +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550
    • +3.19%
    • 체인링크
    • 19,090
    • +3.75%
    • 샌드박스
    • 391
    • +3.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