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사내 기술 컨퍼런스 '코드러너 2024' 개최

입력 2024-09-11 10: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술 조직 임직원 660여 명 참여
"뛰어난 기술 문화 및 개발 역량으로 금융 혁신 서비스 이어갈 것"

▲카카오뱅크 직원들이 지난 6일 경기도 수원시 SCC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열린 '코드러너 2024(Kode Runner 2024)'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직원들이 지난 6일 경기도 수원시 SCC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열린 '코드러너 2024(Kode Runner 2024)'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는 사내 기술 컨퍼런스 '코드러너 2024(Kode Runner 2024)'를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코드러너는 카카오뱅크의 모든 기술 조직 구성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기술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사내 기술 컨퍼런스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카카오뱅크 기술 담당 임직원과 개발자 등 총 660여 명이 참석해 카카오뱅크의 연간 사내 기술 행사 중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코드러너 발표의 대주제를 △안정 △혁신 △확장 등 3개의 키워드로 구성했다. 기술 조직 내 다양한 구성원들은 해당 주제에 맞춰 기술 지식과 노하우를 담은 18개의 발표 세션을 준비했다.

신재홍 카카오뱅크 CTO(최고기술책임자)는 '견고한 구조가 만드는 조직의 힘(Structure makes Strength)'을 주제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기술 조직의 중요성에 대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이후 발표 세션을 통해 안정적인 기술 은행을 구축한 경험과 지식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유롭게 질문하며 지식을 나누며 조직 간 업무 이해도를 높였다.

올해는 각 팀의 업무를 홍보하고 서로의 업무 영역을 간접 체험해볼 수 있는 참여형 부스 '스와프 스페이스(Swap space)' 공간도 마련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각 팀의 경험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 기술적 성장을 도모하고, 사내 개발자들 간의 네트워킹을 활성화하고자 이번 컨퍼런스를 준비했다"며 "카카오뱅크의 뛰어난 기술 문화와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금융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핵심 인재 유출 막는다”…AI 인재 병역특례 길 열리나 [두뇌 유출 下]
  • SKT 유심 교체 28만 명 돌파…해킹 여파에 '탈 SKT' 행렬도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596,000
    • +0.3%
    • 이더리움
    • 2,622,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6.73%
    • 리플
    • 3,285
    • -1.97%
    • 솔라나
    • 214,300
    • -1.52%
    • 에이다
    • 1,023
    • -1.45%
    • 이오스
    • 998
    • +1.22%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405
    • -3.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2.06%
    • 체인링크
    • 21,720
    • +0.56%
    • 샌드박스
    • 437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