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유 팬들, 서울시에 분노한 이유…"잔디 문제, 아이유 콘서트에 책임 전가"

입력 2024-09-15 1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수 아이유. (사진제공=이담엔터테인먼트)
▲가수 아이유. (사진제공=이담엔터테인먼트)

가수 아이유의 팬들이 월드컵경기장의 그라운드석을 두고 서울시를 비판했다.

14일 아이유 갤러리는 “서울시가 아이유 콘서트 관련 입장을 내놓았는데 ‘잔디 문제’에 대해 책임을 전가하는 행태에 팬들은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며 장문의 성명문을 발표했다.

팬들은 “팬들은 다음 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개최 예정인 아이유 콘서트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는 소식에 큰 안도감을 느낀다”라면서도 “무능력한 서울시의 행정력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월드컵경기장의 ‘잔디 문제’는 전적으로 서울시설공단의 관리 소홀 책임이다. 서울시설공단을 관리·감독하는 서울시는 잔디 문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서울 시민에게 사과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도리”라며 “마치 아이유 콘서트 여파로 내년부터 월드컵경기장 그라운드석 판매가 제외된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불편함을 드러냈다.

팬들은 “올해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아이유에 앞서 두 가수의 콘서트가 진행됐던 만큼, 서울시설공단은 2024년 한 해 콘서트 수수료만으로 무려 36억이 넘는 수익을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공단은 그에 걸맞은 막중한 책무를 가지고 잔디 관리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었어야 함이 마땅하다”라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5일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 대한민국과 팔레스타인의 2026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이후 잔디 상태에 대해 지적이 나오자 내년부터 해당 경기장에서 열리는 문화행사에서 그라운드석 판매를 제한하겠다고 알렸다.

다만 이미 판매가 완료된 21~22일 아이유 콘서트는 계획대로 진행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문화행사 대관을 금지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콘서트 관람에 대한 수요가 있고 현재 서울에 2만명 이상 관람객을 수용할 대형 공연장이 없어 그라운드석 판매를 제외한 부분 대관만 허용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아이유 콘서트 취소를 요구하는 민원이 빗발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자금 빨아들이는 美…한국시장 투자는 ‘찬바람’만 [2025 ‘코피티션’ 中]
  • '애플 천하' 日 태블릿 시장, 삼성전자, 2%대 점유율 탈출할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조4405억'…"2분기 최고 실적 또 경신"
  • 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급락’…환차손·증시 불안 여파
  • 이커머스 시장 균열 오나…‘2%p 격차’ 네이버 맹공에 쿠팡 점유율 변화 주목
  • 구단 역사 쓴 한화의 '선발 8연승'…KBO 역사도 쓸까?
  • 새색시 에일리, 남편 최시훈과 결혼 여운 여전히…유재석부터 인순이, 손연재, 거미까지 총출동
  • '골때녀' 원더우먼, 월드클라쓰에 5-0 대승…'한일전 에이스' 마시마 멀티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1: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77,000
    • +0.48%
    • 이더리움
    • 2,566,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2.35%
    • 리플
    • 3,170
    • -0.06%
    • 솔라나
    • 214,900
    • +0.94%
    • 에이다
    • 993
    • +0.91%
    • 이오스
    • 953
    • -0.73%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80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00
    • +0.16%
    • 체인링크
    • 21,240
    • +3.46%
    • 샌드박스
    • 424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