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후속 지수’ 기다리는 자산운용업계

입력 2024-09-25 14: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밸류업 ‘후속 지수’ 기다리는 자산운용업계
‘대표지수’ 입지에 편입 종목만 100개
‘단일·소수종목’ ETF 트렌드와 거리감
섹터·top10·중소형 등 파생 지수 관심

▲여의도 증권가. 사진=이투데이DB
▲여의도 증권가. 사진=이투데이DB

자산운용업계에서 ‘코리아 밸류업 지수’보다 후속 밸류업 지수에 더 집중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밸류업 지수 편입 종목이 많아 특정 분야나 종목에 집중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트렌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평가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공개된 밸류업 지수 편입 종목은 총 100개다. △정보기술(IT) 24개 △산업재 20개 △헬스케어 12개 △자유소비스 11개 △금융·부동산 10개 △소재 9개 △필수소비재 8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5개 △에너지 1개 등이 편입 분야로 선정됐다.

자산운용업계에는 첫선을 보인 밸류업 지수로 시장에서 흥행할만한 투자상품을 만들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이번 밸류업 지수는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 방안으로 마련된 데다 대표지수 성격을 띠는 만큼 다양한 분야와 종목을 아우르고 있다. 이런 특징이 단일·소수 종목 집중 ETF를 활발히 출시하고 있는 자산운용업계 흐름과는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는 설명이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밸류업 지수가 ETF 추종 지수에 그치지 않고 거시경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중 하나라는 점을 이해한다”며 “추후 정책 방향에 따라 지수 구성 방법론을 바꾸는 문제 등을 두고 적극적 소통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구성 종목이 포괄적이라 위험성이 적은 투자를 선호하는 기관의 관심은 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현재 ETF 핵심 고객층인 개인투자자 투자 유인은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이에 자산운용업계는 밸류업 파생 지수 내용과 출시 시점 등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거래소도 레버리지, 섹터, 밸류업 톱(top)10 등을 중심으로 하는 밸류업 지수에 대한 업계 수요를 인지하고 있다. 저평가·중소형주 등에 집중하는 후속 지수에도 눈길이 쏠린 상황이다. 거래소는 후속 지수 세부 선별기준 마련과 시장 의견수렴 등을 거쳐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다른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밸류업 지수 출시를 앞두고 편입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됐던 은행·금융주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높았고, 관련 ETF 거래도 활발했던 만큼 밸류업 상품 수요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적 정책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이 중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40,000
    • +1.24%
    • 이더리움
    • 2,349,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503,000
    • +9.87%
    • 리플
    • 3,227
    • +7.53%
    • 솔라나
    • 189,500
    • +4.41%
    • 에이다
    • 956
    • +3.46%
    • 이오스
    • 953
    • +8.91%
    • 트론
    • 358
    • -1.38%
    • 스텔라루멘
    • 365
    • +5.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50
    • +0.97%
    • 체인링크
    • 18,990
    • +2.59%
    • 샌드박스
    • 387
    • +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