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4-1BB 단일항체 미국‧호주 특허 결정

입력 2024-09-30 09: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에이비엘바이오는 미국과 호주에서 4-1BB 단일항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특허가 결정됐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2019년 12월 국제 출원된 것으로, 에이비엘바이오는 2039년까지 4-1BB 단일항체에 대한 권리를 보호받는다.

4-1BB 단일항체는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 세포를 활성화해 T 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기전이다.

가장 먼저 4-1BB 단일항체를 개발한 것은 글로벌 제약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MS)이다. BMS가 개발한 4-1BB 단일항체는 강력한 항암 효능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간 독성으로 개발이 중단됐다. 화이자도 간 독성을 최소화하는 4-1BB 단일항체 개발을 진행했으나 부작용이 줄어든 대신 항암 효능이 기대보다 저조해 개발을 포기한 바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러한 4-1BB 단일항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번에 특허를 확보한 4-1BB 단일항체를 활용, 암세포가 발현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T 세포가 활성화되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를 개발했다. 그랩바디-T가 적용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으로는 ABL503(Ragistomig), ABL111(Givastomig), ABL103, ABL105 등이 있다.

ABL503은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1건의 완전관해 및 6건의 부분관해 사례를 포함한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ABL111은 1차 치료제로 ABL111과 PD-1 면역항암제 니볼루맙(Nivolumab), 화학 치료제를 3중 병용하는 임상 1b상을 진행 중이다. ABL103의 국내 임상 1상과 ABL105의 임상 1/2상 역시 순항하고 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그랩바디-T 플랫폼에 대한 해외 특허 확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기존 이중항체 개발에 더해 신규 모달리티인 이중항체 ADC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회 및 행사에 참석해 에이비엘바이오의 기술력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의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14,000
    • +1.14%
    • 이더리움
    • 2,681,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447,000
    • +0.45%
    • 리플
    • 3,182
    • +5.19%
    • 솔라나
    • 178,600
    • +5%
    • 에이다
    • 977
    • +3.06%
    • 이오스
    • 1,164
    • -1.85%
    • 트론
    • 349
    • -0.85%
    • 스텔라루멘
    • 379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670
    • +2.81%
    • 체인링크
    • 19,150
    • +2.85%
    • 샌드박스
    • 390
    • +2.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