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FX] 달러화, 파월 발언에 상승…달러·엔 143.60엔

입력 2024-10-01 07: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달러화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달러화 지폐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달러화 가치가 30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 이후 상승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0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측정하는 블룸버그달러현물지수는 이날 0.3% 상승했다. 다만 3분기 기준으로는 3.7% 내렸다.

유로·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0.02% 오른 1.1137달러에, 파운드·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0.01% 상승한 1.3377달러에 거래됐다. 달러·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02% 밀린 143.60엔을 나타냈다.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연준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례총회 연설에서 “우리는 미리 정해진 길 위에 있지 않다. 금리 인하 속도는 앞으로 들어오는 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있다”며 “점도표는 경제가 예상대로 흘러갈 경우 기준금리가 올해 안에 0.25%포인트씩 두 번 인하될 것이라는 점을 나타낸다”고 언급했다.

헬렌 기븐 마넥스 외환 트레이더는 파월 의장의 연설에 대해 “약간 매파적이지만 전반적으로 FOMC 회의 이우화 같은 메시지를 반복하고 있다”며 “파월 의장의 어조가 바뀐 것 이상으로 시장이 미리 알아서 조절한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 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이날 마감 무렵 연준이 11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낮출 확률을 34.6%까지 낮췄다. 반면 0.25%포인트 높일 확률은 65.4%까지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되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8월 구인·이직 보고서 JOLTs, 9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실업률 등 주요 경제 지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크 챈들러 배녹번글로벌포렉스 수석 전략가는 “이번 주는 고용지표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 전세 사기 기승인 요즘,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받으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81,000
    • -0.08%
    • 이더리움
    • 2,425,000
    • +3.28%
    • 비트코인 캐시
    • 494,000
    • -1.79%
    • 리플
    • 3,112
    • -2.87%
    • 솔라나
    • 193,400
    • +1.9%
    • 에이다
    • 935
    • -1.68%
    • 이오스
    • 905
    • -5.53%
    • 트론
    • 374
    • +4.47%
    • 스텔라루멘
    • 358
    • -1.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40
    • -1.83%
    • 체인링크
    • 18,900
    • -0.16%
    • 샌드박스
    • 38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