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육군 무인 복합체계 선봬

육군 미래 전장 체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상군 방위산업전시회(KADEX 2024)’가 2일 충남 계룡대에서 개막했다. 14개국 21개 주요 해외 방산기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라는 말을 실감케 했다.
기존 방산전시회와 달리 전장 기능별로 전시관을 구성했다. △정보ㆍ지휘통제 △화력 △기동 △방호 △항공ㆍ우주 △방호ㆍ대드론 △미래 △장병복지관 등 기능별로 나눠 관람 동선을 효율화했다.

한화는 대한민국의 영공을 철통 방어할 최첨단 기술 기반의 ‘다층방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다양한 높이에서 날아오는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드론까지 요격할 수 있는 기술로 글로벌 대공망 방어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관련 뉴스
전시장 중앙에는 미사일 위협을 탐지하는 중ㆍ장거리용 다기능레이더(MFR), 다표적 동시 교전 다기능레이더와 함께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장거리 요격미사일을 처음 전시했다. 장거리 요격미사일 사거리는 40~70㎞ 수준으로 중고고도 요격이 가능하다.
‘글로벌 베스트셀러’ K9 자주포의 미래형 버전으로 현재 개발 중인 ‘K9 유무인복합체계’도 최초로 공개했다. K9 유무인복합체계는 별도의 탑승자 없이 원격으로 주행과 운용을 할 수 있고 최대 사거리도 80㎞로 기존보다 2배 늘어난다. 궤도 대신 바퀴를 달아 기동성을 극대화한 ‘K9 차륜형 자주포’도 전시했다.
한화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 해상도를 가진 해상도 0.25m급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을 처음 선보였다. 이 소형 SAR 위성은 일반 SAR 위성과는 달리 탑재체와 본체 및 태양전지판을 일체화했다. 발사체에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전장품이 하나로 통합 설계돼 발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G넥스원은 병력 자원 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무장 제품군을 소개했다.
한국형 소총에 장착하는 다목적 발사기에서 운용되는 ‘초소형 유도탄’은 반능동 레이더(Semi-Active Laser) 탐색기를 탑재해 멀리 떨어진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레이저 소총과 20㎜ 원격사격통제장비(Remote Control Weapon System) 등의 무기도 함께 전시했다.
해외 고객 대상으로는 저고도 다층 대공망의 핵심 무기체계인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신궁’, 장사정포요격체계를 비롯해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 ‘현궁’, 대화력전의 핵심전력 대포병탐지레이더 ‘천경-II’ 등 주력 수출제품을 소개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이번 전시회에서 국내 및 해외 고객에게 수리온(KUH), 소형무장헬기(LAH) 등 주요 라인업을 소개했다.
KAI의 전시 부스는 유무인 복합체계와 한국형 차세대 고속 기동헬기(KFVL) 등 미래 기술에 관심을 보이는 관계자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KFVL는 동축반전형과 틸트로터형을 함께 개발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최대 속도가 500㎞/h에 달해 KUH(300㎞/h)보다 기동력이 우수하다.
KAI의 KUH 모션형 시뮬레이터는 공간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국내외 체험객에게 실제 헬기와 유사한 탑승 및 조종 경험을 제공한다. 함께 전시한 자동시험(Smart-ATE) 장비 시연을 통해 조종에서 정비로 이어지는 운용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다.

현대로템은 ‘사람을 위한 기술(Human in Technology)’을 주제로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
미래전투체계 핵심 전시품으로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의 4세대 모델을 선보였다. 전동화 기반 무인차량의 특성을 살려 사람을 대신해 감시, 정찰, 전투, 부상병 및 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첼리오 피오레티(Célio Fioretti) 프랑스 국제 방송(Radio France Internationale) 기자는 “K-방산의 발전을 한 곳에서 관람할 수 있어 흥미롭고 귀중한 경험”이라며 “대한민국과 유럽이 방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