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리소스, 구리선 대비 170배 이상 ‘고효율’ 초전도 선재 증착 장비 수주

입력 2024-10-08 13: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린리소스는 자회사 파이널텍으로부터 초전도 선재 IBAD증착장비를 수주받았다고 8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초전도 선재란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질을 이용해 구리선 대비 170배 이상의 전류를 보낼 수 있는 고효율 전기에너지 소재다.

자회사 파이널텍과 계약한 수주액은 약 32억 원으로, 계약기간은 24년 10월부터 25년 10월까지 12개월이다. 파이널텍은 그린리소스의 초전도선재 관련 소재 전문 자회사로 표면처리 및 전해연마 등의 기술력으로 지난 5월 5년간 총 77억 원 규모의 초전도선재 부품화 기술개발 관련 국가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서남과 계약한 수주액은 약 26억 원이고 계약기간은 24년 10월부터 26년 1월까지 15개월이다.

금번 제작되는 장비의 최종 고객사는 미국 휴스턴대학교로 그린리소스와 서남 양사는 지난해 메톡스 테크놀로지(MetOx Technologies)향 납품에 이어 금번 제작에도 협업할 예정이다.

휴스턴대학교는 미국 에너지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150만 달러 규모의 핵융합발전 초전도 자석 개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2004년 설립된 서남은 고온초전도선재 및 소재 관련 전문기업으로 향후 초전도선재 및 장비 시장에서 계속 협업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IBAD증착장비는 초전도 선재를 증착할 수 있는 장비다. 초전도 선재란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성질을 이용해 구리선 대비 170배 이상의 전류를 보낼 수 있는 고효율 전기에너지 소재다.

초전도선재는 핵융합장치의 핵심 부품인 초전도 자석을 제작하는 원료로서 에너지, 전선 등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종범 그린리소스 공동대표(CTO)는 “풍력, 태양광 등 변동성 에너지와 방사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핵분열 에너지로는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변동성이 작은 친환경에너지인 핵융합발전 투자는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핵융합발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초전도선재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자금 빨아들이는 美…한국시장 투자는 ‘찬바람’만 [2025 ‘코피티션’ 中]
  • '애플 천하' 日 태블릿 시장, 삼성전자, 2%대 점유율 탈출할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조4405억'…"2분기 최고 실적 또 경신"
  • 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급락’…환차손·증시 불안 여파
  • 이커머스 시장 균열 오나…‘2%p 격차’ 네이버 맹공에 쿠팡 점유율 변화 주목
  • 구단 역사 쓴 한화의 '선발 8연승'…KBO 역사도 쓸까?
  • 새색시 에일리, 남편 최시훈과 결혼 여운 여전히…유재석부터 인순이, 손연재, 거미까지 총출동
  • '골때녀' 원더우먼, 월드클라쓰에 5-0 대승…'한일전 에이스' 마시마 멀티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5: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732,000
    • -1.02%
    • 이더리움
    • 2,538,000
    • -1.28%
    • 비트코인 캐시
    • 513,000
    • -0.77%
    • 리플
    • 3,118
    • -2.23%
    • 솔라나
    • 212,700
    • -1.66%
    • 에이다
    • 983
    • -1.01%
    • 이오스
    • 927
    • -4.14%
    • 트론
    • 350
    • -1.41%
    • 스텔라루멘
    • 378
    • -1.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50
    • -1.28%
    • 체인링크
    • 20,770
    • -0.24%
    • 샌드박스
    • 404
    • -4.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