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에스아이, 수주잔고 5589억…배터리 CNT 분산액 파일럿 라인 구축 추진

입력 2024-10-10 10: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차전지 장비 기업 티에스아이가 이차전지의 용량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소재의 개발을 통해 내년 파일럿 라인 구축을 추진 중이다. 카본나노튜브(CNT) 분산액의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한 작업으로 소재 매출 사업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10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티에스아이는 카본나토튜브(CNT) 분산액을 개발하고 내년 파일럿 생산 라인을 준비 중이다.

티에스아이 관계자는 “내년 6월에 자사 관련 장비를 활용해 CNT 분산액 파일럿 생산 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2026년 양산 라인을 목표로 한다”라고 말했다.

CNT는 양극과 음극 활물질(양극재, 음극재)과 집전체(동박, 알루미늄박) 사이에 사용하는 소재로, 활물질과 집전체의 전기전도성을 높여준다.

기존 도전대 대비 사용량 70~80%를 감축할 수 있고, 활물질 투입량을 증가시켜 배터리 용량도 확장할 수 있다. 충·방전 효율 향상과 수명 연장, 활물질의 높은 팽창률 대응으로 충·방전 시 안정성까지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CNT는 서로 뭉치려는 특성이 있기에 고루 펼쳐서 쓰기가 어려워 분산액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분산액은 배터리 성능을 강화해 전기차 주행거리와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기차의 약점으로 꼽히는 주행거리와 충·방전 안정성으로 시장은 급성장 중이다. 회사 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30년 약 13조 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된다.

이 회사는 이차전지 믹싱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 믹싱시스템이란 믹싱 공정(활물질 등의 분체)을 정량 계량 공급해 믹싱 작업을 수행한 후 만들어진 슬러리(고체 혼합물)를 코팅공정까지 공급하는 공정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매출 비중은 믹싱시스템 92%, 믹싱제작품 4%, 공사(배관·전기) 등이다.

티에스아이는 천안 신축 예정인 신공장 구축이 완료되면 현재 2500억 원 규모의 생산능력을 5500억 원까지 두 배 이상 확장된다.

수주잔고도 넉넉한 수준으로 5589억 원(6월 말 기준)을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17,000
    • +3.74%
    • 이더리움
    • 4,670,000
    • +7.46%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11.08%
    • 리플
    • 1,580
    • +0.77%
    • 솔라나
    • 345,200
    • +3.88%
    • 에이다
    • 1,122
    • -3.28%
    • 이오스
    • 925
    • +1.98%
    • 트론
    • 281
    • +1.44%
    • 스텔라루멘
    • 338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700
    • +2.78%
    • 체인링크
    • 21,340
    • +2.94%
    • 샌드박스
    • 490
    • +2.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