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통합등급 'B+' 이상 기업 43%…"최상위·최하위 등급 정체"

입력 2024-10-25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ESG기준원은 올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B+(양호) 이상을 받은 상장사가 전체 대상의 43%를 차지한다고 25일 밝혔다.

한국ESG기준원은 상장회사 1001사, 비상장 금융회사 65사(지배구조만 평가)의 ESG 수준을 평가한 '2024년 ESG 등급'을 발표했다.

이중 코스피 상장 794사가 받은 통합등급을 보면 S등급(탁월)을 받은 기업은 0사로 지난해와 변함이 없었다. A+(매우 우수)등급을 받은 기업은 20사로 전체 대상 중 2.5%를 차지해 지난해(19사) 대비 0.1%포인트(p) 늘었다.

A등급(우수)의 비중은 23.9%(190사)로 같은 기간 2.2%p 증가한 반면 B+(양호)등급의 비중은 16.9%(134사)로 0.9%p 감소했다.

B등급(보통)의 비중은 7.4%(59사)로 1.2%p 늘었고, C등급(취약)의 비중은 2.8%(181사)로 4.0% 감소했다. D등급(매우 취약)의 비중은 26.4%(210사)로 1.4%p증가했다.

한국ESG기준원 관계자는 "ESG 전 영역에서 중위권 기업의 완만한 점수 상승세가 확인되어 자본시장의 ESG 경영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됐다"면서도 "반면 최상위권 및 최하위권 기업의 수준은 정체돼 있어 향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A+등급 이상의 기업 수는 전년 대비 거의 변화가 없으며 전체 평가대상 중 하위권(C, D등급) 비중이 절반가량(49.2%)을 차지해 ESG 경영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한국ESG기준원 관계자는 "중위권 기업은 기후공시 및 사회책임경영 활동 정보 공개 확대, 지속적인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뒷받침 됐다"며 "다만 국제기준에 상응하는 문항에 대한 대응 부족, 신규 평가 대상기업의 정보 미공개 등의 사유로 최상위권과 최하위권의 ESG 성과 개선이 미흡해 지속적인 ESG 경영 수준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96,000
    • -0.13%
    • 이더리움
    • 3,272,000
    • +6.96%
    • 비트코인 캐시
    • 571,500
    • -3.46%
    • 리플
    • 3,285
    • +1.99%
    • 솔라나
    • 241,600
    • +6.81%
    • 에이다
    • 1,088
    • +2.84%
    • 이오스
    • 1,199
    • +1.01%
    • 트론
    • 364
    • +1.11%
    • 스텔라루멘
    • 413
    • +1.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800
    • +3.03%
    • 체인링크
    • 22,460
    • +1.86%
    • 샌드박스
    • 464
    • +5.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