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10월 수출이 4.6% 증가하면서 1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양대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은 역대 10월 중 최대치를 기록하고, 대중(對中) 수출 역시 25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대미 수출은 역대 10월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등 내용도 좋았다.
정부는 양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수출이 10월 기준 1위 실적을 경신하고, 전체 수출도 3개월 연속 월별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등 수출이 견조한 증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달까지의 성적만 놓고 보면 이 같은 장밋빛 평가가 나올 만하다.
하지만 중동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리스크가 여전한 데다 미국 대선 이후 경제·통상 정책에 변화가 예상되는 점은 수출 불확실성을 키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재집권 시 한국 반도체·방위산업·자동차·이차전지 등 주력 수출 품목에서 적신호가 켜질 것이라는 연구기관들의 우려 섞인 분석도 쏟아지고 있다.
관련 뉴스
여기에 역기저효과(비교 대상이 되는 시점의 수치가 높아 상대적으로 감소율이 보이는 현상)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한국 수출은 지난해 10월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한 뒤 1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는 작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의 수출이 반등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최근 수출 증가율은 역기저효과로 점차 둔화하는 추세를 보인다.
실제로 월 수출 증가율이 지난 7월 13.5%로 단기 고점을 형성한 이후 8월 11.0%, 9월 7.5%, 10월 4.6% 등으로 점차 낮아져 한국경제의 성장 엔진 속도가 둔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한국은행이 올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1%로 집계하면서 순수출이 -0.8%포인트를 기록해 성장률을 깎아내렸다고 밝힌 것도 우려를 키우는 부분이다.
정부는 불안감이 커지는 현재의 수출 상황에 대해 냉정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중동 사태, 러・우 전쟁 등 대외 리스크 요인의 변화와 미 대선에 따른 경제·통상 정책의 흐름을 선제적으로 파악해 예상할 수 있는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산업·통상·무역・에너지 등 분야별 영향을 분석하고, 민간 및 전문가 등과 함께 대응 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