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대출 문턱에 저축은행 3분기 민원 급감

입력 2024-11-11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11-10 17:07)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3분기 민원 건수 5건…2분기 21건 대비 감소
대출 장벽 높이며 대출 줄어든 영향
최근 2금융권 대출 풍선 효과에 관련 민원 증가 가능성
금융당국, 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방안 논의 예정

3분기 저축은행에 접수된 민원 건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높은 대출 금리 탓에 주로 여신 관련 민원이 대다수였지만 저축은행들이 빗장을 걸어잠그면서 건수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총자산이 1조 원 이상이고, 민원 건수가 업권 내 비중 2% 이상인 저축은행 10곳의 3분기 대내외 민원 건수가 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분기 21건 대비 16건 줄었고 전년동기(17건)로 비교해도 크게 감소했다.

저축은행별로는 다올저축은행이 2건이었고, OK·신한·한국투자저축은행에서 각 1건의 민원이 제기됐다. 애큐온저축은행이 아직 3분기 민원 공시를 하지 않은 상태지만, 총 민원 건수는 10건 미만일 것으로 전망된다.

민원 공시를 통해 집계되는 민원은 중복·반복민원과 단순 질의성, 금융회사에 책임을 물을 수 없는 민원 등은 제외된다.

저축은행 민원은 대개 신용대출 등 여신 관련 민원이 많다. 저축은행 업권이 건전성 관리 목적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관련 민원도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올해 저축은행 대출 잔액은 꾸준히 감소세를 나타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96조5929억 원으로 6월 말 98조66억 원 대비 1조4137억 원 줄었다. 지난해 말 104조936억 원이었던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올해 5월부터는 100조 원대 아래로 떨어졌다.

다만, 최근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라 2금융권 대출이 많이 늘어나면서 향후 여신 관련 민원이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0월 중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약 2조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9월 5000억 원 감소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아직 새마을금고, 농·신협 단위조합 등 상호금융권에 집중되고 저축은행으로는 몰리고 있지는 않지만 안심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들이 최근 수신을 늘리면서 대출 영업 강화 기조를 보이고 있다”며 “대출 수요가 늘어나면서 민원도 자연스럽게 증가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11일 가계부채 대책회의를 열고 저축은행을 포함한 2금융권 가계대출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2금융권에서도 받아보는 등의 방안이 거론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26,000
    • +0.1%
    • 이더리움
    • 2,301,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482,200
    • -0.12%
    • 리플
    • 3,003
    • -1.22%
    • 솔라나
    • 193,900
    • +0.52%
    • 에이다
    • 891
    • -0.45%
    • 이오스
    • 906
    • +1.57%
    • 트론
    • 354
    • -1.39%
    • 스텔라루멘
    • 35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1.01%
    • 체인링크
    • 18,270
    • +1.33%
    • 샌드박스
    • 378
    • +5.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