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시 전문가는 국내 채권시장이 트럼프 트레이드가 지속되는 가운데 '레드 스윕' 및 소비자물가지수(CPI) 경계 등의 영향으로 금리 하단이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3일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채권시장 전일 강세로 마감했다.
전일 미 채권시장 휴장인 만큼 유럽권 금리에 연동되며 강세로 출발했다. 그리스 중앙은행 총재, 1년 내 유럽중앙은행(ECB)이 정책 금리를 100bp(bp=0.01%) 이상 인하 가능함을 시사했다.
이날 금리 하단은 제한될 전망이다. 아시아장 중 미국채 금리, 레드 스윕 및 CPI 경계로 상승한 영향이다. 10월 가계부채 증가 규모 확대, 1400원을 상회한 원·달러 환율 등은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부담을 가중할 예정이다.
관련 뉴스
트럼프 트레이드가 지속하며 미국 채권시장은 약세 마감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요직 중 미 우선주의 성향 인물들이 배치됨에 따라 미국채 금리가 상승했고, 이민자 감소, 무역 전쟁이 일으킬 인플레이션 재점화 불안이 시장을 지배하는 모양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매파(통화긴축) 인사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는 12월 추가 인하 여부에 향후 인플레 지표가 중시된다고 언급했다.
한편, 금일에는 미국 10월 CPI, 유로존 9월 산업생산, 한국 10월 수출입 물가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