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3분기 영업이익 1117억원...작년보다 43.4% 증가

입력 2024-11-14 0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업 경쟁력 강화 성과...별도기준 영업익 126 억원, 4년 만에 분기 최대

▲이마트 용산점 내부. (사진제공=신세계그룹)
▲이마트 용산점 내부. (사진제공=신세계그룹)

이마트가 2021년 1분기 이후 3년여 만에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상품 가격 경쟁력 강화, 직소싱과 대량 매입, 제조 업체와의 협업 등 '본업 경쟁력 강화' 결과다.

이마트는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43.4% 증가한 1117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2021년 1분기 이후 분기 최대 실적이다.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242억원으로 22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매출은 7조5085억원으로 소폭(2.6%) 감소했다. 다만 수익성 개선 노력에 힘입어 당기순이익은 105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배 이상 늘었다.

별도 기준으로도 올해 3분기 총매출 4조6726억 원, 영업이익 1228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2340억 원(5.3%), 영업이익은 126억 원(11.4%) 각각 늘어난 수치다.

특히 영업이익은 2020년 3분기 이후 4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이다. 7월 1일 슈퍼마켓 체인인 이마트에브리데이 합병에 따라 3분기 매출 3699억 원, 영업이익 63억 원이 편입된 점을 감안해도 고무적인 실적이다.

이마트는 실적 개선 비결로 본업 경쟁력 강화에 노력을 기울였다는 자평이다. 올해 들어 상품을 상시 최저가 수준으로 제공하는 '가격파격 선언'과 직소싱과 대량 매입 등을 통해 50여 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이는 '가격 역주행' 프로젝트를 지속했다.

여기에 스타필드 마켓 죽전 등 리뉴얼(재단장) 등이 신규 고객 증가로 이어졌다. 스타필드 마켓 죽전은 8월 29일 리뉴얼 개장 후 9월 말까지 방문 고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49% 증가하고 신규 고객은 180% 늘었다. 이에 따라 매출이 지난해 대비 48% 신장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가격 주도권 확보와 상품 혁신, 고객 중심의 리뉴얼 등 본업 경쟁력 강화가 실적 개선의 원동력임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본업에 초점을 둔 구조 개혁과 체질 개선을 지속 추진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82,000
    • -0.47%
    • 이더리움
    • 3,500,000
    • -2.94%
    • 비트코인 캐시
    • 567,000
    • -2.91%
    • 리플
    • 3,575
    • +4.96%
    • 솔라나
    • 244,800
    • -1.17%
    • 에이다
    • 1,124
    • -3.6%
    • 이오스
    • 1,218
    • -6.88%
    • 트론
    • 373
    • -0.8%
    • 스텔라루멘
    • 435
    • -1.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00
    • -5.41%
    • 체인링크
    • 23,440
    • -4.37%
    • 샌드박스
    • 492
    • -4.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