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대항마 AMD, AI 칩 강화 위해 대규모 구조조정

입력 2024-11-14 17: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 인력 4%, 1000명 감축 계획
“가장 큰 성장 기회 위해 불가피”
나머지 반도체와 ‘양극화’ 심화

▲AMD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AMD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엔비디아 대항마로 경쟁 중인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가 13일(현지시간) 1000명 규모의 구조조정 계획을 확정했다. AMD는 AI 칩 시장에 사업체를 최적화하려는 조치라는 견해를 밝혔다. 반도체 시장에서 AI 칩 이외 추가 침체가 이어지는 ‘반도체 양극화’가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AMD는 이날 성명을 통해 “가장 큰 성장 기회에 집중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처를 하고 있다”며 “안타까운 조치이지만, 전 세계 인력의 약 4%를 감축하는 조치도 그중 하나”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AMD 직원 수는 2만6000명으로, 감축 규모는 약 1000명이다.

AMD는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업체다. AI 시장을 가장 큰 성장 기회로 평가하고 있는 AMD는 데이터센터를 위한 AI 가속기를 생산하며,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AMD의 AI GPU 가속기 MI300X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엔비디아와의 격차가 크다. AI 칩 시장의 80%는 엔비디아가 장악하고 있다. AMD 자체 분석에 따르면 2028년까지 AI 칩 시장은 5000억 달러(약 703조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올해 AMD AI 칩 매출은 50억 달러로 엔비디아 예상 매출인 1259억 달러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결국 AMD는 인력 감축 등을 시작으로 AI 칩 개발 최적화해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칩 시장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나 기업 개인용 PC 등에 더 집중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AMD는 인텔과 경쟁하는 소비자용 PC 프로세서에 더 집중해왔다. 이번 감원도 소비자용 PC 및 게임용 PC와 분야 영업·마케팅 직책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AI 칩 시장 진출이 늦어졌다는 평가를 받는 인텔도 9월 부진한 실적에 전체 인력의 약 15%인 1만5000여 명을 감원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53,000
    • +0.17%
    • 이더리움
    • 2,690,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454,900
    • +0.07%
    • 리플
    • 3,081
    • +1.52%
    • 솔라나
    • 174,900
    • -0.68%
    • 에이다
    • 972
    • +0.41%
    • 이오스
    • 1,233
    • +3.7%
    • 트론
    • 350
    • +0.86%
    • 스텔라루멘
    • 389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70
    • -0.79%
    • 체인링크
    • 19,320
    • +0%
    • 샌드박스
    • 390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