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동차 연비기준 완화…취임 첫날 ‘바이든 정책’ 파기

입력 2024-11-20 15: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6년 기준, 1리터당 16.8km 수준
차종별로 2032년까지 2~4%씩 개선
트럼프 “취임 첫날에 의무정책 파기”

▲강화되는 자동차 연비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주요 제조사는 전기차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바이든이 내세운 연비 기준을 크게 완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래픽=이투데이)
▲강화되는 자동차 연비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주요 제조사는 전기차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바이든이 내세운 연비 기준을 크게 완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래픽=이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직후 현행 자동차 연비 규제를 완화한다.

조 바이든 현 행정부는 2032년까지 일부 차종 연비를 ‘1갤런(약 3.8ℓ)당 평균 약 50마일(ℓ당 21㎞)’까지 개선할 것을 요구해왔다. 트럼프가 이 정책을 파기하는 셈이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고 “트럼프 당선인 임기 첫날 그는 전기차 의무명령을 끝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7년부터 2032년까지 승용차의 경우 연간 2%씩, 픽업트럭과 SUV의 경우 연간 4%씩 연비 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자동차 연비 기준은 2026년 기준 1갤런당 40마일(약 64km)이다. 1리터당 연비로 환산하면 약 16.8km다.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가 2012년 설정했던 38mpg와 비슷한 수치로 도널드 트럼프 당시의 32mpg보다는 25% 더 엄격하다.

제조사 반발도 거세게 일어났다. 실제로 포드는 공식입장을 통해 “현실적으로 해당 기준을 충족하기 불가능한 것은 물론, 상당한 경영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트럼프 당선인의 고문들은 연비 요건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 배출 관련 환경보호청 기준들도 들여다볼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09: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94,000
    • -0.96%
    • 이더리움
    • 3,484,000
    • -1.11%
    • 비트코인 캐시
    • 574,500
    • +0.7%
    • 리플
    • 3,538
    • +6.66%
    • 솔라나
    • 244,100
    • +0.45%
    • 에이다
    • 1,138
    • +0.89%
    • 이오스
    • 1,229
    • -5.17%
    • 트론
    • 381
    • +2.97%
    • 스텔라루멘
    • 434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50
    • -2.59%
    • 체인링크
    • 23,370
    • -2.46%
    • 샌드박스
    • 501
    • -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