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1%대 경제성장률 내놓을까…수정경제전망 ‘이목’

입력 2024-11-2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이달 28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때 수정경제전망도 발표
기존 올해 성장률 전망치 2.4%·내년 전망치 2.1% 예상
3분기 GDP 예상밖 성장 쇼크 이후 전망치 수정 불가피

▲한국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과자 수출액이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과자류 수출액은 4억9420만달러(약 6605억 원)로 작년 동기보다 15.4% 증가했다. 과자류 수출액은 농식품 품목 중 라면, 연초류(담배와 전자담배)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올해 1월부터 추석 전인 이달 둘째 주까지 수출액은 5억2910만달러(약 7071억원)로 집계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한국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과자 수출액이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과자류 수출액은 4억9420만달러(약 6605억 원)로 작년 동기보다 15.4% 증가했다. 과자류 수출액은 농식품 품목 중 라면, 연초류(담배와 전자담배)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올해 1월부터 추석 전인 이달 둘째 주까지 수출액은 5억2910만달러(약 7071억원)로 집계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를 구매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한국은행이 내년 1%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을지 이목이 쏠린다. 올해 경제성장률을 놓고 국내외 금융회사 및 기관에서 잇따라 하향 조정한 가운데 내년 전망치는 1%대 후반도 거론되는 만큼 한은의 경제진단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은은 28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는 당일 수정경제전망도 함께 발표한다. 직전 전망 때인 8월에 예상했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은 각각 2.4%, 2.1%였다. 올해 전망치는 5월에 2.1%에서 2.5%로 상향 조정된 후 8월에 다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월에 2.3%였으나 5월에 2.1%로 내렸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당초 전망치였던 0.5%를 한참 밑돈 0.1%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얼만큼 조정할지가 고민일 뿐 하향 조정은 기정사실화됐다. 특히 내년 전망치가 다시 1%대로 떨어질지가 화두로 떠올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2%에서 2.0%로 낮췄다. 한국금융연구원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내렸고, 내년은 2.0%로 예상했다.

시장의 전망치는 더 낮게 나오고 있다. 김진욱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전망치는 2.2%, 내년 전망치는 1.8~2.0%로 각각 예상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을 1%대로 전망하는 것은 한은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작년 1.4% 성장에서 올해 2%대로 힘겹게 성장했는데, 다시 1%대로 내려갈 수 있다는 진단을 내놓는 것이 경제주체들의 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은 2.3%, 내년은 2.0%로 각각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내년에 최종적으로 1.9% 내지 1.8%까지 충분히 내려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며 “트럼프 2기가 들어선 후 어떤 정책이 나올 지 모르는 상황에 성장률을 미리 (1%대로) 깎아둘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은 2.2%, 내년은 2.0%로 예상한다”며 “이번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자체도 그동안 물가, 금융안정을 고려했다면 3분기 성장률이 잘 안 나왔고, 수출 경기 우려가 커진 상황이어서 성장 쪽으로 포커스를 맞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장기전략리서치부장은 올해 2.2%, 내년 1.9%로 각각 전망했다. 공 부장은 “11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향후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14,000
    • -5.37%
    • 이더리움
    • 2,640,000
    • -6.58%
    • 비트코인 캐시
    • 439,800
    • -4.97%
    • 리플
    • 2,969
    • -7.8%
    • 솔라나
    • 169,600
    • -11.57%
    • 에이다
    • 932
    • -9.43%
    • 이오스
    • 1,222
    • +1.75%
    • 트론
    • 347
    • -1.42%
    • 스텔라루멘
    • 375
    • -7.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60
    • -7.75%
    • 체인링크
    • 18,540
    • -11.29%
    • 샌드박스
    • 384
    • -6.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