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계속된 러‧우 전쟁 우려에 상승...WTI 1.63%↑

입력 2024-11-23 13: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수요 확대 기대감도 유가 밀어올려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에 원유 펌프 잭이 보인다. 미들랜드(미국)/AP뉴시스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에 원유 펌프 잭이 보인다. 미들랜드(미국)/AP뉴시스

국제유가는 22일(현지시간) 러‧우 전쟁에 대한 우려와 11월 중국 수요 확대 기대감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14달러(1.63%) 상승한 배럴당 71.24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월물 브렌트유는 0.91달러(1.23%) 오른 배럴당 75.14달러로 집계됐다.

러‧우 전쟁이 격해지면서 시장 불안이 커진 한 주간 WTI는 6.46%, 브렌트유도 5.81% 급등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날 대국민연설을 통해 “신형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오레시니크(개암)’로 우크라이나 중남부 드니프로 지역을 공격했다”고 밝히며 글로벌 확전 가능성을 경고했다.

특히 격해지는 공격에 세계 최대 석유 생산업체 중 하나인 러시아가 마비 상태에 빠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우크라이나는 장거리 드론을 이용해 러시아의 석유 시설을 공격해오고 있다.

존 에반스 PVM 애널리스트는 로이터통신에 “시장은 석유나 가스 시설의 파괴를 우려하고 있다”면서 “자익적인 피해를 주는 것뿐 아니라 전쟁의 소용돌이를 가속화하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수요 확대 전망도 유가를 밀어올렸다.

중국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부과 위협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금융 지원 확대와 환율의 안정적 관리 등을 통해 자국 대외무역 기업을 지원하는 ‘대외무역의 안정적 성장 촉진에 관한 약간의 정책 조치’를 발표했다.

트레이더와 애널리스트 등에 따르면 중국의 원유 수입은 11월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브렌트유 가격이 70~85달러 범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트럼프 당선인의 제재 강화로 이란의 공급 상황이 영향을 받게 되면 85달러 가까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802,000
    • -0.88%
    • 이더리움
    • 2,620,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3.68%
    • 리플
    • 3,157
    • -0.72%
    • 솔라나
    • 211,900
    • -1.58%
    • 에이다
    • 1,029
    • +1.38%
    • 이오스
    • 1,059
    • -0.28%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89
    • -1.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300
    • -5.58%
    • 체인링크
    • 20,560
    • -3.61%
    • 샌드박스
    • 412
    • -5.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