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해제 후 환율·야간선물 낙폭 축소…금융시장 충격 제한적 전망"

입력 2024-12-04 07: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에 2500선을 탈환한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관계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45.62(1.86%) 상승한 2500.10에 코스닥은 14.96(2.21%) 오른 690.80에 장을 마쳤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에 2500선을 탈환한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관계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45.62(1.86%) 상승한 2500.10에 코스닥은 14.96(2.21%) 오른 690.80에 장을 마쳤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대신증권은 4일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면서도 국내 금융시장의 충격 강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경민,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는 불가피하다"며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비상 계엄 선포 직후 해제되었고, 이 과정에서 환율, 야간 선물 시장 등 낙폭이 축소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 충격 강도는 제한적일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또 두 연구원은 "국내 증시와 환율 시장이 극심한 저평가 영역에 위치한 만큼 점차 안정을 찾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기존 전망 스탠스 및 투자전략을 유지한다"고 했다.

오전 6시 17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원 상승한 1418.7원에서 등락하고 있고, 장중 최고가는 1440원까지 급등 이후 하향 안정 중이다.

해외 코스피 ETF(EWY)는 장중 -7.1%까지 급락했지만 오전 6시 -1.59% 하락 마감했다. 야간선물은 장중 -5.48%까지 급락했지만, 오전 5시 -1.8%로 하락 마감했다.

3일 오후 11시 40분경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긴급 거시 경제·금융 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4일 구체적인 추가 안정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901,000
    • -0.56%
    • 이더리움
    • 2,297,000
    • -3.65%
    • 비트코인 캐시
    • 498,800
    • +6.01%
    • 리플
    • 3,127
    • +0.42%
    • 솔라나
    • 186,300
    • -0.53%
    • 에이다
    • 933
    • -1.79%
    • 이오스
    • 911
    • +2.36%
    • 트론
    • 359
    • -1.1%
    • 스텔라루멘
    • 354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80
    • -1.36%
    • 체인링크
    • 18,470
    • -2.48%
    • 샌드박스
    • 378
    • -3.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