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들 대부분 출근...탄핵 표결 앞둔 공직사회 '긴장'

입력 2024-12-07 14: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상목 경제부총리, 표결 전 1급 이상 간부회의 주재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공직사회는 국회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어떤 상황에서든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날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경제수석부처인 기획재정부는 국회 표결 전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1급 이상 간부가 전원 참석하는 회의를 열 예정이다. 현재 세종청사에도 경제정책국, 예산실, 정책조정국 간부들이 출근해 있다.

다른 부처 장ㆍ차관과 고위간부들도 3일 비상계엄 때처럼 긴급간부회의 소집을 대비해 언제든지 출근할 수 있도록 서울에서 비상 대기 중이다.

정부부처는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될 경우와 부결될 경우를 모두 검토해서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표결 당시에는 가결된 후에 총리 담화문이 배포됐고 긴급 국무회의 등이 잇달아 열린 바 있다.

한국은행은 탄핵안 표결 결과를 앞두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금융·외환시장이 휴장인 주말인 만큼 표결 결과가 시장에 당장 미치지 않아 안도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날 표결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비상계엄 선포-해제 후 금융·외환시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매일 오전 10시, 오후 4시에 태스크포스(TF)를 갖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은 주말이라 최상목 경제부총리 주재로 한은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하는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는 열리지 않았다. F 4회의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사흘 연속 열렸다. 탄핵안 표결 이후에도 따로 F4 회의는 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총리실 관계자는 "국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뭔가 가정해서 하기는 어렵지 않으냐"며 "다만 어떤 상황에서든 공직사회가 중심을 잡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34,000
    • -0.54%
    • 이더리움
    • 2,626,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10,500
    • -2.48%
    • 리플
    • 3,121
    • -0.54%
    • 솔라나
    • 210,100
    • -0.66%
    • 에이다
    • 987
    • -3.24%
    • 이오스
    • 983
    • -7.26%
    • 트론
    • 356
    • +1.14%
    • 스텔라루멘
    • 383
    • -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500
    • -0.38%
    • 체인링크
    • 20,110
    • -2.62%
    • 샌드박스
    • 397
    • -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