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올해 국내 드론기업의 수출이 작년 144억 원 대비 62% 성장한 232억 원을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국내 드론기업이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수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수출지역도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아랍에미리트, 인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 전 세계로 확대 중이다.
수출 품목은 드론 라이트쇼 기체, 측량드론 기체, 비행제어장치, 드론축구 장비, 시설모니터링 서비스, 농업관리 서비스 등으로 기체, 하드웨어(H/W) 부품뿐만 아니라 S/W와 드론 활용 서비스까지 다양하다.
특히 유비파이의 드론라이트쇼 군집비행 기체와 시스템은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시장에 1000만 불 이상 수출로 수출의 탑을 수상했으며 11월 미국 마을 형상화 기네스 기록을 세우고 미국 내 최대 군집비행 기록(5000대)도 달성했다.
관련 뉴스
또한, 세계적인 가전ㆍ기술 박람회인 CES에서 니어스랩이 자율비행을 가능케 하는 무인화 드론스테이션으로 CES 2025 최고 혁신상을 받기도 했다.
수출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들이며 새로운 산업 분야에 도전하여 꾸준히 기술을 발전시켜 온 기업들이기에 그 성과와 의미가 크다.
유비파이는 드론라이트쇼 기체 및 시스템 분야, 니어스랩은 태양광발전감시서비스, 인투스카이는 농업용, 교육용 드론, 캠틱종합기술원은 드론축구볼 등 장비, 시스테크는 드론 3D모델구축 S/W 판매 등이다.
국토부는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들을 꾸준히 육성,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드론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통해 몽골,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해외 드론로드쇼를 열었고 미국 드론박람회(C-UAV EXPO)와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이탈리아 드론박람회(Dronitaly)에도 K-드론대표단을 구성해 참가했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우수 드론 기업의 수출이 지속해서 확대될 수 있도록 2025년에도 다양한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라며 “내년은 미국 내에서 드론 로드쇼를 펼치는 등 미국 시장 진출에 집중하며 우리 기업의 드론제품과 서비스가 세계시장에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