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권인수팀, 교통 당국 ‘테슬라 자율주행’ 조사에 제동

입력 2024-12-16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율주행 사고 데이터 의무 보고’ 폐지 추진
美 교통 당국 테슬라 자율주행 사고조사 제동
새 행정부, 출범 이후 권고안 채택할지 미정
머스크 “테슬라만 부당한 표적”이라며 반대

▲미국 콜로라도 리틀턴 테슬라 전시장 앞에 모델 X가 주차돼 있다. 리틀턴(미국)/AP뉴시스
▲미국 콜로라도 리틀턴 테슬라 전시장 앞에 모델 X가 주차돼 있다. 리틀턴(미국)/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이 자율주행 교통사고와 관련해 ‘교통사고 주행 데이터 보고’ 조항 폐지를 추진한다. 새 행정부 정부효율부 공동수장을 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적극적으로 반대해온 제도다.

15일(현지시간) CNBC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인수팀은 교통 당국이 요구할 경우 제조사가 ‘자동차 충돌사고 데이터’를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현행 제도의 폐지를 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권고안을 만들어 새 행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로이터통신은 해당 제도의 폐지와 관련해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고 원인 등을 규명하는데 필수적인 제도”라면서 “(인수팀의 관련 제도 폐지 추진은)자율주행차의 안전을 조사하고 규제하는 미국 정부의 능력을 약화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NHTSA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 15일까지 보고된 45건의 치명적 자율주행 충돌 사고 가운데 40건이 테슬라 차에서 발생했다. 이 때문에 충돌 사고 데이터 제출 조항을 없애면 가장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업으로 테슬라가 점쳐졌다.

앞서 머스크 CEO는 이와 관련해 “부당한 규제로 인해 테슬라가 표적이 됐다”라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로이터는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정권인수팀의 관련 조항 폐지 권고를 결정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알 수가 없는 상태”라면서 “테슬라 이외에 자동차 제조사를 대표하는 미국자동차혁신연합 (AAI)도 해당 규정을 부담스럽다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1: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21,000
    • -1.37%
    • 이더리움
    • 3,425,000
    • -2.89%
    • 비트코인 캐시
    • 560,000
    • -2.27%
    • 리플
    • 3,445
    • +3.11%
    • 솔라나
    • 238,600
    • -2.85%
    • 에이다
    • 1,106
    • -2.73%
    • 이오스
    • 1,187
    • -7.84%
    • 트론
    • 371
    • -0.8%
    • 스텔라루멘
    • 424
    • -3.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6.68%
    • 체인링크
    • 22,840
    • -4.36%
    • 샌드박스
    • 479
    • -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