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복잡한 퍼즐 풀어야 하는 상황 …불확실성에 추가 상승 여지”

입력 2024-12-20 11: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1% 이상 상승하며 2480선을 돌파했다. 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62(1.12%)포인트 상승한 2484.43을 코스닥 지수는 3.10(0.45%)포인트 상승한 697.57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35.8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1% 이상 상승하며 2480선을 돌파했다. 1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62(1.12%)포인트 상승한 2484.43을 코스닥 지수는 3.10(0.45%)포인트 상승한 697.57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35.8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원·달러 환율이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0일 오전 11시 3분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49.3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1450원으로 장을 시작한 이후 1451.7원까지 고점을 높인 후 상승폭을 소폭 축소하는 흐름이다. 전날 원·달러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는 전날보다 16.4원 오른 1451.9원을 기록했다.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익일 야간 종가(오전 2시)는 1447.3원으로 1440원대 후반으로 하락했다.

박상현·이승재 iM증권 연구원은 “달러 강세 재료뿐만 아니라 주변국 경기 및 외환시장 상황도 원·달러 환율의 상승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정책 당국이나 국내 외환시장이 복잡한 환율 퍼즐을 풀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중국 역외 위안화가 7.3위안을 돌파하는 등 위안화 약세 압력이 커지고 있다”며 “중국 국채 금리 급락에서 보듯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리스크 확대와 더불어 미-중간 금리 스프레드 확대는 당연히 위안화 약세 재료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정책 당국이 위안화 약세를 어느 정도까지 용인할지가 변수지만 위안화 약세를 용인한다면 달러-위안 환율의 추가 상승을 배제할 수 없고 이는 당연히 원화 가치의 추가 약세 재료로 이어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내 상황도 원화 약세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라고 봤다. 박 연구원은 “미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등으로 한국은행의 1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소 불확실해졌지만 여전히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1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여기에 10조~30조 원 수준의 추경 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점 그리고 정치 불확실성 리스크가 진정되지 못하고 있음은 원화 가치에 부담을 줄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박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수준에 너무 집착할 경우 역효과가 가시화될 여지가 크다고 우려했다. 박 연구원은 “환율 수준 때문에 추가 금리 인하 혹은 추경 등의 시점이 지연될 경우 국내 경기의 하방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며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일본과 중국이 사실상 자국 통화 약세를 용인하는 정책을 추진할 경우 엔-원 및 위안-원 환율이 하락, 즉 엔 및 위안화 대비 원화 가치가 상승할 수 있음은 국내 산업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35,000
    • -3.63%
    • 이더리움
    • 2,656,000
    • -4.12%
    • 비트코인 캐시
    • 438,300
    • -2.51%
    • 리플
    • 3,033
    • -2.94%
    • 솔라나
    • 171,900
    • -8.81%
    • 에이다
    • 952
    • -4.8%
    • 이오스
    • 1,214
    • -1.22%
    • 트론
    • 350
    • +0%
    • 스텔라루멘
    • 381
    • -3.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00
    • -5.38%
    • 체인링크
    • 18,830
    • -6.83%
    • 샌드박스
    • 388
    • -2.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