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트럼프 2.0 대응 카드 실상 제한적”

입력 2024-12-30 17: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맞관세·핵심 광물 수출 금지 등 한계
결국 답은 ‘협상’...“미국도 중국의 고객”

▲2019년 6월 29일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찾은 일본 오사카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만났다. 오사카/AP뉴시스
▲2019년 6월 29일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찾은 일본 오사카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만났다. 오사카/AP뉴시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위협에 보복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자신해왔지만, 사실상 내세울 카드가 많지 않다고 2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맞관세 부과부터 첨단 전자제품 등에 필요한 핵심 광물 수출 금지, 중국 내 미국 기업 제재 등이 가능하지만 모든 경우 중국 역시 역효과를 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가장 먼저 가능한 카드는 ‘맞관세’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중국 60% 관세를 예고했다. 이에 상응하는 관세를 중국도 미국산 수출품에 부과할 수 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중국이 쓴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대미 수출이 미국의 대중 수출보다 비중이 크다면 그리 효과적이지 않은 결론에 이를 것이라고 WSJ는 평가했다.

핵심 광물 수출 제한과 미국 기업 제재 역시 한계가 있다. 중국이 중요한 광물 생산과 정제를 주도하고 있지만 유일한 공급국은 아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은 중국보다 캐나다에서 더 많은 갈륨을 수입했다. 가공 게르마늄 최대 공급국은 독일이다. 해당 광물 모두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이다.

특히 중국의 광물 지배력은 저렴한 가격을 바탕으로 한다. 중국이 수출을 제한해 가격이 높아진다면 시장 참여를 꺼렸던 다른 국가가 뛰어들 수 있다. 또 제3국을 통한 우회 거래도 가능하다.

미국 기업을 제재한다고 해도 중국의 내수 부진과 과열 경쟁으로 시장 매력도가 이미 떨어져서 큰 효과가 없다고 WSJ는 지적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중국 사업 부진에 현지 합작사 구조조정에 나섰으며 이를 위해 4분기 50억 달러(약 7조3415억 원)가 넘는 비용을 상각 처리할 예정이다.

미 국채를 대규모 매각하는 방법도 있지만, 미국이 무제한 매입에 나선다면 이 역시 효과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결국 남은 것은 ‘협상’이라는 의견도 있다. 리서치업체 로듐그룹의 로건 라이트 중국 부문장은 “결국 미국도 중국의 고객”이라며 “이들이 중국산 상품을 사도록 협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시] 신세계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 10% 딸 정유경 회장에 증여”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08,000
    • -0.18%
    • 이더리움
    • 2,588,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28,500
    • +0.57%
    • 리플
    • 3,164
    • -2.22%
    • 솔라나
    • 213,000
    • +0.66%
    • 에이다
    • 985
    • -2.09%
    • 이오스
    • 970
    • -1.52%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391
    • -2.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850
    • -2.23%
    • 체인링크
    • 20,640
    • -2.18%
    • 샌드박스
    • 425
    • +1.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