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국내 최초 물 대신 이산화탄소로 굳히는 시멘트 현장 적용

입력 2025-02-07 09: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롯데건설 직원들이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를 활용한 코팅제를 시공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제공=롯데건설)
▲롯데건설 직원들이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를 활용한 코팅제를 시공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제공=롯데건설)

롯데건설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 연구 과제에 참여해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에 시범적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롯데건설은 국책 연구 과제인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 연구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 기술은 미국, 캐나다 등 해외에서 선도적으로 개발됐으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국산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약 13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이 개발한 기술은 일반 시멘트 대비 약 200℃의 낮은 온도로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고, 석회석 사용량을 30% 절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에 의해 굳는 기존 시멘트와 달리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 친환경 건설재료로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멘트에 혼합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를 활용해 만든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벽돌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은 최대 70%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가능하며, 일반 콘크리트와 비슷한 수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염해 저항성 등 내구성은 더 우수하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12월 부산 롯데타워 신축 현장에 개발 기술을 원료로 한 염해방지 코팅제를 적용했으며, 오산 세마 트라움 건설 현장에서는 개발 기술을 접목해 제작된 보도블록을 조경 구간에 시공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로 제조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품질과 사용성을 검증함으로써 친환경 신건설재료의 건설 현장 도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새벽잠 깨운 충주 지진…"집안 흔들렸다" "한숨도 못 자"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나솔사계’ 현커 16기 영자ㆍ미스터 배, 살벌한 다툼…결국 제작진까지 투입
  • 구준엽, 故 서희원 사망 심경…"창자가 끊어지는 고통, 유산 권한 장모님께"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190,000
    • -2.09%
    • 이더리움
    • 4,163,000
    • -5.6%
    • 비트코인 캐시
    • 492,700
    • -4.79%
    • 리플
    • 3,548
    • -6.75%
    • 솔라나
    • 296,100
    • -5.97%
    • 에이다
    • 1,099
    • -7.18%
    • 이오스
    • 896
    • -5.98%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494
    • -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550
    • -6.22%
    • 체인링크
    • 28,910
    • -5.83%
    • 샌드박스
    • 581
    • -5.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