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09151628_2134534_1000_570.jpg)
올해도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이 의무화하면서 공사비 상승이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6월부터 기존 공공 건축물에만 적용하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민간 건축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는 고단열, 고기밀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건축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정부는 2017년부터 공공 건축물에 이를 도입하고 추진해왔다. 올해 6월부터는 이를 민간 건축물에도 적용해 30가구 이상의 민간 아파트에도 5등급 인증이 의무화된다.
건설업계에선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 하단 전망이 나온다. 제로 에너지 건축물 5등급 충족을 위해 고성능 창호, 단열재, 태양광 설비 등의 도입이 필수화되면 공사비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관련 뉴스
공사비 상승세는 이미 소비자가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공사비지수는 2020년 이후 꾸준히 오르며 지난해 11월 130.26을 기록했다. 2020년(100) 보다 30% 이상 오른 수준이다.
최초 공사비로 시공이 어려워지면서 증액 계약을 맺는 사업장도 잇따라 나오는 추세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송파구 잠실진주 재건축, 경기 안양 호계온천 재개발 등 다수의 정비사업지에서 공사비 증액 계약을 맺고 있다.
공사비가 오르면서 아파트 분양가도 뛰었다.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아파트가 공급된 서울 18개 자치구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4820만 원으로, 전년(3508만 원) 대비37.4% 급등했다. 2021년(2799만 원)과 비교하면 72.7% 상승한 수준이다.
국토교통부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에 따른 공사비 증가 폭을 전용면적 84㎡ 기준 가구당 약 130만 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건설업계는 실제 증가 폭이 이보다 더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최소 300만 원 이상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를 고려할 때 분양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게 업계의 전망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가 민간 아파트 영역에도 적용되면 관련 고효율 자재와 친환경 설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며 "소요 비용이 물가와 대외 경제 상황에 따라 예상 보다 더욱 커질 수 있어 분양가 상승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