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이앤엠은 관계사 루카에이아이셀(루카)이 DXVX(디엑스앤브이엑스)와 차세대 항바이러스 범용 치료제의 플랫폼 기술이전 라이선스(LO)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계약 규모 및 상업화 마일스톤은 비공개다.
이 기술은 루카의 독보적인 항바이러스 펩타이드(AviPep·Antiviral Peptide) 관련 특허를 활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및 그 변이체 감염에 대한 범용치료제 기술이다. 인류를 괴롭혔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중동호흡기 증후군) 등 코로나 바이러스과에 속하거나 넥스트 팬데믹을 유발할 잠재적인 위험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루카에서 개발한 LEAD(바이러스 외피 지질막 파괴공법) 펩타이드 치료제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Antiviral Activity)’을 나타나는 치료제다. 이 기술은 지질로 구성된 바이러스 표면의 특정 곡률(휘어진 정도)만 인식해 특정 바이러스를 물리적으로 파괴한다. 지름이 200나노미터 이하의 바이러스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인체의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바이러스의 변이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 바이러스 외에도 지카, 에볼라, 뎅기, 마버그열 바이러스 등의 치명적인 바이러스 치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관련 뉴스
LEAD 공법은 한가지 바이러스에만 특정해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등장할 예측할 수 없는 질병(Disease X)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앞서 미국질병관리청(NIH)으로부터 AViDD(Antiviral Drug Discovery) 프로그램에 선정되는 등 차세대 바이러스 대비 연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안승희 루카 대표는 “신약 개발 기술력과 사업화 능력을 갖춘 디엑스앤브이엑스와 계약에 따라 치료제의 상용화와 글로벌 사업화 시기가 앞당겨졌다”며 “국내 제약사가 항바이러스 핵심 기술에 대한 지식 재산권을 보유함으로써 넥스트 펜데믹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이앤엠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루카의 연구개발 성과가 바이오 산업 내 고부가가치 기술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루카만의 독보적인 기술을 활용해 기술이전 및 신약 상업화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과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