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점검체계 가동…F4 적극 역할"
"필수추경에 통상대응 사업 적극 반영"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와 관련해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에는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주재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로 당분간 글로벌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국내 금융·외환시장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는 최 부총리를 비롯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관세율 10%를 기본으로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중국 34%, 대만 32% 등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다.
관련 뉴스
최 부총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은 발표 직후 달러가치가 상승하고 미국 국채금리 등 증시 선물지수가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높아진 모습"이라며 "시장 상황이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고 외환·국채·자금시장 등 각 분야별 점검체계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온 이상 본격적인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F4 회의도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헀다.
최 부총리는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대미협상에 범정부적 노력을 집중하고 경제안보전략 TF 등을 통해 민관이 함께 최선의 대응전략을 마련하겠다"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 조선 RG(선수금환급보증) 공급 확대 등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국회에 제안한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과 관련해서는 "무역금융, 수출바우처 추가 공급, 핵심품목 공급망 안정 등 통상 리스크 대응 사업을 적극 반영하겠다"며 "우리 기업이 전례 없는 통상 파고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국회에서 신속히 논의해 주시길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말했다.